매일신문

한나라 공천심사 혼선

후유증 우려 심사위원장 서로 고사…인재영입 제동

한나라당 대구·경북 국회의원들이 공천 후유증 등을 우려해 총괄 책임을 지는 공천심사 '위원장' 자리는 꺼리는 대신 심사 '위원'은 서로 맡으려고 하는 바람에 공천심사위 구성이 혼선을 빚고 있다. 중앙당에선 공천의 핵심인 인재영입을 놓고 상당수 의원들 반발로 영입심사가 전격 유보되고 영입위원장이 사퇴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한나라당 대구시당은 오는 14일 서울에서 대구 국회의원들 간담회를 갖고 공천심사위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논의를 벌일 예정이지만 심사위원장을 맡으려는 의원이 없어 고민하고 있다. 안택수 시당 위원장은 10일 "후보가 많아 모두들 심사위원장을 하지 않으려 한다"며 "나 자신도 위원장을 맡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경북도당에선 지난 2일 가진 경북 국회의원 워크숍에서 공천방식과 기준 등을 논의했지만 여태 공천심사위 구성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권오을 도당 위원장이 심사위원장 자리를 고사했고, 이어 거명된 의원 2~3명도 꺼리고 있다.

반면 심사위원에는 지원 의원들이 쏟아지고 있다. 이때문에 심사위원에 해당지역 국회의원을 최대 30%까지만 포함시키기로 했던 당초 방침이 허물어질 공산이 커졌다. 대구의 경우 당초 2명에서 4명으로, 경북의 경우 전체 심사위원의 절반 가량을 국회의원이 맡게 된다는 것.

이처럼 지역 의원들이 공천심사위원장 자리를 꺼리는 것은 별다른 '실속'은 없는 반면 공천탈락자 반발 등 후유증과 책임론은 모두 위원장에게 돌아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으로 지역 정가는 보고 있다. 박근혜 당 대표가 최근 공천과정의 불법을 '해당행위'로 간주하고, 공천심사위원장에게 '무한책임'을 전가시킨 것도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반면 심사위원은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 공천에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선호하는 것으로 풀이됐다.

한편 한나라당 인재영입위원회가 지난 8일 최고위원회에 보고한 기초단체장 영입후보 164명에 대해 상당수 의원들이 강하게 반발, 영입심사가 전격 유보되고 김형오 인재영입위원장이 9일 위원장직을 사퇴하는 등 인재영입 작업에도 제동이 걸렸다.

이종규·김병구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