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28일 대입 원서접수 대행 온라인 사이트가 마감시간을 앞두고 불통된 사상 초유의 사태는 당시 소문대로 일부 수험생들의 의도적인 무차별 사이트 공격 때문이었던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무차별 공격'에 가담, 경찰에 입건된 수험생들은 '사이트를 마비시켜 경쟁률을낮추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했다고 진술, 결국 대입 과당 경쟁이 불러온 사태로 결론나고 있다.
10일 원서접수 대행사이트 마비 사건의 경찰 수사결과 원서접수 대행사이트 4곳 중 2곳을 집중공격해 입건된 피의자는 고3 재학생 16명, 재수생 15명, 대학생과 고1학생 3명 등 모두 34명.
사이트가 마비되자 마음이 조급해진 수험생들은 "누군가 경쟁률을 떨어뜨리려고고의로 접속을 한꺼번에 많이 했다"고 의혹을 제기했지만 당시만 해도 전문 해커의소행이라고 여겼던게 사실이다.
이들 2곳은 전체 원서접수의 95%를 담당해 이들 사이트가 접속 불능되자 수험생의 절대 다수가 원서를 접수하지 못하고 발만 동동 굴렀다.
하지만 경찰 수사로 입건된 이들 34명이 전문해커도 아닌 똑같은 수험생들로 밝혀지고 범행동기가 단순한 장난이 아닌 다른 학생을 떨어뜨리려고 했다는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자 경찰조차 '쓴 입맛'을 다실 수 밖에 없었다.
경찰에 입건된 고3학생은 친구 2명과 함께 원서를 접수하러 PC방에 갔다가 자신이 원서를 먼저 접수하자 친구 2명이 접속하고 있는 사이트를 공격해 사이트를 마비시키려고 했다.
이 학생은 친구 2명이 자신의 눈앞에서 원서를 접수하지 못하고 쩔쩔 매고 있었는데도 계속 사이트를 공격했다고 경찰은 전했다.
이날 함께 입건된 한 여학생은 친오빠가 원서를 접수하자 오빠가 지원한 학과의경쟁률을 떨어뜨리려고 과다 접속 프로그램으로 사이트를 맹공격했다.
입건된 34명 가운데 33명이 대입 원서 접수에 '성공'한 뒤 남이 접수하지 못하도록 '방해공작'을 해 고의성이 입증됐다고 경찰은 밝혔다.
◇공식 입시사이트 알고보니 '미신고' = 이번 경찰 수사결과 드러난 어처구니없는 사실 중 하나는 한국의 수험생 60여만명이 관련 부처에 신고를 하지 않은 미신고 사이트를 통해 원서를 접수했다는 것이다.
현행 전기통신사업법 21조는 부가통신사업(기간통신사업자에게 전기통신회선설비를 임차해 기간통신역무 외에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일)을 하려면 정보통신부장관에게 신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를 어기면 2년 이하의 징역이나 1억원 이하의 벌금을 물어야 한다.
2006학년도 대입원서 접수를 대행한 업체 4곳은 이런 신고 절차를 거치지 않고미신고 상태에서 대입원서를 접수하는 '황당한' 일이 벌어진 것이다.(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