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아부 그라이브 포로 수용소의 미군 포로 학대 악몽이 2년 만에 되살아나고 있다. 악명 높은 아부 그라이브 교도소의 상처를 다시 건드린 것은 호주 공영 TV. 호주 SBS TV는 15일 오후 8시 30분(현지시간) '데이트라인' 프로그램을 통해 미군의 이라크 포로 학대 행위를 담은 미공개 사진과 영상을 방영했다.
일부 사진은 지난 2004년 공개된 학대 행위와 유사했으나 다른 사진은 이전 것보다 훨씬 심각한 수준의 학대 장면이 담겨 있었다. 분뇨로 몸이 더럽혀지거나 성적 학대를 당하는 모습, 발가벗긴 채 피를 흘리고 있는 포로와 사체 등의 모습이 공개됐으며 한 포로는 벽에 머리를 부딪치며 자해하는 장면도 있었다.
SBS는 이 사진과 영상의 출처에 대해서는 밝히기를 거부했으나 시민단체인 미국시민자유연맹(ACLU)이 입수해 공개하려던 것이었다고 밝혔다. ACLU는 2004년 초 내부 고발자가 미 정부에 제출한 100건이 넘는 포로 학대 사진과 영상을 입수하기 위해 '정보 공개법'에 따라 정부를 상대로 소송 중이다. 이들 사진이 공개되자 파문이 확산될 것을 우려한 미 국방부가 조기 진화에 나섰다.
미 국방부 대변인 브라이언 휘트먼은 "이 같은 사진이 공개되면 될수록 세계 도처에서 불필요한 폭력을 불러일으켜 미군을 더욱 위험에 빠뜨리게 된다"고 우려했다. 휘트먼은 "아부 그라이브 포로 학대 사건은 이미 조사가 끝난 것"이라며 "이 사건이 발생했을 때 국방부는 즉각 조사에 착수해 사건 전체를 충분히 검토한 뒤 관련자들을 처벌했다"고 밝혀 재조사 가능성을 배제했다.
이라크에서는 영국군이 이라크 10대 청소년들을 집단 구타하는 비디오 테이프가 공개된 지 며칠 만에 또다시 포로 학대 사진이 방영되자 여론이 들끓고 있다. 호주 SBS 방송이 공개한 사진은 즉각 아랍 위성방송을 통해 재방영되고 인터넷을 통해 급속히 번져나가면서 미군에 대한 비난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유엔 코피 아난 사무총장은 "공개된 사진들은 '아주 당혹스러운' 것이었다"며 "즉각적인 조사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고 말한 것으로 대변인이 전했다. 당시 포로학대를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헌병중대 소속 찰스 그래너 상병은 징역 7년, 그의 여자 친구인 린디 잉글랜드 일병은 3년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다. 당시 수용소 최고 책임자인 재니스 카핀스키는 준장에서 대령으로 강등됐으나 사법처리는 면했다.
시드니워싱턴APAFP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