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나 큰 그리움으로
내가 너의 이름을 불러주면 되겠느냐.
오늘 쓸쓸히 바람이 불어
묵은 옷깃처럼 아무렇지도 않은 마음 일렁이나니
내가 그 일렁이는 마음으로 술을 마시고
많이 취하면 되겠느냐.
사랑이여, 짙은 어둠 속에서
가장 어두운 한 어둠이 빛나고 있어서
내 황홀하여 나를 잊고 선
흔적 없는 내 모습을 보여 주고 싶다.
참 많은 기억과 시간을 죽이고
빈 몸으로 서서 그리움 키우고 있나니
어떤 결단으로도 이를 수 없는
그런 나라가 먼 곳에 있으면 좋겠다.
'먼나라' 김선굉
'사랑한다'는 것은 사랑하는 이에게 '내 모습을 보여 주고 싶'은 마음이다. 그렇지만 '내 모습을 보여'줄 수가 없어 안타깝다. 시인은 이 안타까움을 사랑하는 이에게 '얼마나 큰 그리움으로/ 내가 너의 이름을 불러주면 되겠느냐.' 혹은 '일렁이는 마음으로 술을 마시고/ 많이 취하면 되겠느냐'며 호소한다. 그러나 그 길은 보이지 않는다. 사랑은 건너지 못하는 거리를 거느리고 있기 때문이다. 사랑은 그 절대적 거리감에 대한 인식이며, 대상과 합일에 이르지 못하는데 대한 안타까움이다. 그래서 '어떤 결단으로도 이를 수 없는 먼 나라'인 것이다. 사랑은 '황홀하여 나를 잊'을 수 있게 하지만 동시에 '가장 어두운 한 어둠'이기도 한 것이다.
구석본(시인)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