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중교통 이용 크게 늘었다

준공영제 이후 18% 증가…운송 수익금 예상치 상회

지난 19일부터 시작된 대구 시내버스 노선 개편 이후 버스와 지하철 이용객들이 크게 늘어난 데다 운송 수익금도 당초 예상보다 별로 줄지 않은 것으로 집계되면서 일단 합격점을 받았다.

대구시는 개편 이후 첫 출근일인 지난 20일 시내버스와 지하철을 이용한 승객은 91만4천여 명으로 노선 개편 전인 지난달 16일 이용객(77만5천여 명)에 비해 13만9천여 명(18%)이 늘어났다고 22일 밝혔다. 특히 시내버스 이용객이 크게 늘었다. 20일 시내버스 이용객은 대구시가 공식 조사를 한 지난달 16일(51만1천815명)보다 14.2%가 증가했다. 지하철은 20일 31만7천212명이 이용, 지난주 같은 요일인 13일에 비해 이용객이 12% 증가했다.

특히 환승 체계를 기반으로 한 노선 개편에 따라 환승객이 크게 증가했다. 20일 지하철과 버스 환승 인원은 12만3천433명으로 전체 이용객의 13.5%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전 환승 인구 비율인 10.2%보다 3.3% 포인트 늘어난 것.

이 때문에 무료 환승 체계 도입에 따라 당초 큰 폭의 적자가 예상됐던 운송 수익금의 손실 폭은 예상보다 크지 않을 전망이다. 시내버스 운송 수익금이 다소 줄어든 반면, 지하철 운송 수익금은 12%가량 늘어났기 때문.

지난 20일 시내버스는 4억6천300만 원을 벌어들여 노선 개편 전 하루 평균 수익금(4억9천300만 원)에 비해 약 6.5%인 3천만 원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당초 하루 평균 1억9천만 원의 손실이 예상됐던 데 비하면 크게 줄어든 수치.

20일의 지하철 운송수익금은 2억2천200만 원으로 13일(1억7천400만 원)에 비해 오히려 12.8%가 증가, 버스 및 지하철의 전체 수익금 총계는 오히려 1천800만 원 정도 늘었다.

진용환 대구시 버스개혁기획단장은 "현재 추세대로라면 준공영제 실시 이후 연간 70억 원의 순손실을 기록할 것이라는 당초 예상을 뒤엎고 10억 원의 손실에 그칠 전망"이라며 "내년까지 수지 균형을 맞추고 3~4년 후에는 순수익을 볼 수 있도록 대중교통 우선 정책을 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