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약수터 10곳 중 2곳 못 마신다

3년간 수질기준 초과율 '악화일로'

전국 약수터 1천703곳 중 301곳에서 대장균과일반세균, 질산성질소 등이 검출돼 수질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환경부에 따르면 작년 4.4분기 약수터 수질검사 결과 조사대상 중 수질 기준을 초과한 비율이 17.7%로 2004년 15.8%, 2003년 13.0%, 2002년 15.8% 등 최근 3 년간(4.4분기 기준)의 수질 기준 초과율보다 더 높았다.

광주와 전북의 수질기준 초과율이 각각 27.8%로 가장 높고 인천 23.4%, 서울 22. 1%, 경남 20.0%, 경기 19.7%, 부산 19.6%, 경북 19.4% 등 순이었으며 약수터가 20개미만인 대구와 제주도는 초과 시설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장균과 일반세균 등 미생물 항목이 수질 기준을 초과한 곳이 288곳으로 기준초과 약수터의 대부분인 96%를 차지했으며 질산성질소 등 유해무기물질 검출 7곳, 과망간산칼륨 등 영향물질 6곳 등이다. 환경부는 수질기준을 초과한 301곳에 대해 개선 또는 사용중지, 사용금지 등 조치와 함께 '먹는데 이용 불가'라는 경고문을 게시했고 지난 1년간 계속 수질 기준을초과한 15곳은 시설을 폐쇄했다. 서울 강동구 암사동 양지마을약수터는 수질 부적합 및 청소년 범죄발생 우려 등으로 폐쇄됐고 경기 수원시 매탄동 매탄 1호·원천 약수터 등은 수질이 나빠 이용을금지했다.

환경부는 약수를 식수로 이용하는 인구 비율이 8%에 달해 위생관리가 절실하다고 보고 검출 빈도 및 위해성이 높은 오염물질은 검사 횟수를 늘리는 반면 약수터특성상 검출 빈도가 낮은 물질은 검사 횟수를 줄이는 '수질검사의 선택과 집중 관리제'를 도입키로 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