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내 입지를 선정할 예정인 ' 모바일특구 '(MobileSpecial District)는 정보통신부의 2006년 10대 프로젝트 중 가장 중요한 사업으로 5년간 1조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모바일특구는 한마디로 기술의 다변화로 하루가 다르게 바뀌고 있는 모든 모바일 기기와 서비스를 기술'표준에 장애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기술자유지역 '(FTZ: FreeTechnology Zone)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이 모바일 산업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모바일특구에는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모바일 관련 일류 기업들이 R&BD센터를 설치할 가능성이 높다. '테스트 베드 시티'(Test Bed City)라고 할 수 있는 모바일특구에서 신기술과 신제품을 실험해 상용화 가능성이 증명되어야만 시장에 내다 팔 수 있기 때문이다. 정보통신부는"CDMA, GSM, Wi-Bro, DMB, DVB-H, MP 등 현존하는 모든 모바일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환경을 조성해 모바일 1등 국가를 이룩하겠다"고 사업 추진 방향을 밝혔다.
또 모바일특구를 통해 2010년까지 세계 모바일 핵심부품 시장점유율 50%, 단말기 시장점유율 30%,3G시스템 시장점유율 15%를 달성하겠다고 선언한 것만 봐도 이 사업의 중요성과 파급효과를 짐작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인력양성 전문대학원 육성 계획까지 포함된 모바일특구는 전통산업의 위축과 수도권 규제완화로 직격탄을 맞은 지역 산업과 경제를 가장 효과적으로 재건'발전시킬 수 있는 국가 프로젝트"라면서"모바일 관련 R&D와 교육,산업지원, 산업생산 능력에다 전시컨벤션시설까지 갖춘 구미-대구라인은 균형발전이라는 국가정책방향과 사업의 경제성 및 효과성이라는 측면에서도 단연 최고의 입지"라고 말했다.
석민기자 sukmin@msnet.co.kr
▨용어풀이
▲CDMA=부호분할다중접속 방식:스펙트럼 확산 기술을 사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미국 표준 ▲GSM= Global System forMobile Telecommunication:유럽에서 채택하고 있는 디지털 이동전화 방식 ▲Wi-Bro=Wireless-
Broadband의 약자:이동 중에도 초고속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인 터 넷 ▲ DMB=DigitalMultimedia Broadcasting:디지털 멀 티 미 디 어 방 송 ▲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유럽식 휴대방송 규격
▲MP=미디어 플레이어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