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美, 군사용 우주선 극비 개발"

미국이 군사 목적의 소형 우주궤도 비행선인 이른바 '블랙스타(Blackstar)'를 극비리에 개발, 지난 1990년대에 시험비행을 마쳤다고 미국의 권위 있는 우주항공 전문지 '애비에이션 위크 & 스페이스 테크놀로지' 가 6일 보도했다. '애비에이션 위크'에 따르면 비행사 2명이 탑승하는 유인 우주선 '블랙스타'는 유사시 가상 적국의 군사적 동향을 급히 정찰하는데 이용할 목적으로 지난 1980년대부터 개발이 추진됐다.

미 국방부는 이 극비 군사계획의 비밀 유지를 위해 '블랙스타' 개발비를 미 의회가 책정하는 국가 항공우주선이나 해군의 A-12 전투기 개발 예산에 숨겨놓았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됐다.

특히 이 프로젝트는 소형 군사용 우주선을 궤도에 진입시킬 수 있도록 2단계 시스템으로 이뤄져 있으며, 특수 정찰활동과 무기 이동 등의 극비 임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 비행선은 미 국방부가 정해진 시간대에 지구 상공을 회전하는 일반 스파이 위성들이 잡아내지 못하는 사각시간대에 긴급 투입, 군사적으로 민감한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포착하기 위해 개발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잡지는 특히 "이 프로젝트는 지난 1960년대의 XB-70 발키리 초음속 폭격기를 모델로 개발한 'SR-3'라는 대형 운반선과, 실험용 우주궤도 비행선이라는 의미의 'XOV'라는 소형 우주비행선으로 구성돼 있다"고 보도했다.

또 'SR-3'라는 대형 모선이 동체에 XOV를 싣고 높은 고도로 비행한 뒤 XOV를 초음속의 속도를 유지한 채 분리시키면, XOV는 자체 로켓엔진을 분사시켜 우주 궤도로 진입하고 모선은 기지로 회항하게 된다. XOV도 임무를 모두 완수한 뒤에는 일반 우주선과 마찬가지로 지구로 돌아오게 된다.

잡지는 이어 "극비리에 개발된 이 군사용 우주선이 플로리다주 헐버트 공군기지, 오키나와의 가데나 공군기지, 뉴멕시코주의 홀로맨 공군기지 등에 착륙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나 일부 과학자들은 "미군이 이런 극비 군사계획을 검토한 것은 사실이나 그 후 예산 확보의 어려움과 고성능 엔진개발의 문제점 때문에 계획이 유보됐거나 폐기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애비에이션 위크'는 이에 대해 "지난 1990년 또는 1991년 젤 형태의 고에너지붕소 입자를 사용하는 로켓연료를 개발함으로써 이 극비 계획 성공의 관건이었던 연료문제가 해결됐다"고 반박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