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자 노트)산불 막는다고 참나무 마구 '싹둑'

"바위 틈에서도 끈질기게 살아남아 있던 참나무를 벴다고요?"

지난달 '훼손되는 앞산'시리즈를 취재하면서 산 정상에서 고산골로 내려오던 길이었다. 산 중턱에 마치 사열식(査閱式)을 하듯 셀 수도 없을 정도로 많은 잣나무 숲이 펼쳐져 있었다. 그 숲의 끝에는 8m 폭으로 능선까지 나무를 마구 베어낸 자리가 있었다. 산불이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한 '방화선'. 얼마 전 산불이 난 자리에 새로 잣나무숲을 만들고 그 옆의 참나무를 모조리 베어냈다며 등산객들은 혀를 찼다. 지역의 한 전문가에게 이를 물어봤다.

"완전 거꾸로 된 산림정책이죠. 정말 한심합니다."

그는 한숨을 크게 내쉬며 조목조목 설명했다. ▽불꽃이 1km 이상 날아다니는 한국 산불의 특성상 몇 미터 폭의 방화선은 제구실을 못하고 ▽참나무가 잣나무보다 몇 배나 불에 강하고 ▽기온이 높고 건조한 대구 기후에서 강원도나 개마고원에 사는 잣나무는 질병에 약하고 ▽잣나무 아래에는 다른 식물이 살 수 없어 종다양성을 훼손한다.

"말 그대로 '진짜 나무'라서 참나무죠. 도토리 열매로 '묵'을 만들어 먹고 멧돼지 같은 산짐승에게는 좋은 사료도 됩니다."

대구시에 잣나무숲을 조성한 이유를 물었다. 담당자는 "얼마 전 인사 이동이 있어 잘 모르겠다. 오래된 일이라 자료를 찾아봐야겠다"고 했다.

잣나무는 건축 자재, 가구 재료로 잘 팔리는 '돈되는' 나무이고 참나무는 별 쓸모없는 '진짜' 나무일 뿐이다. 왜 잣나무림을 조성했는지 물어볼 필요도 없었다.

경산에 있는 한 대학 교수를 찾아갔을 때다. 그는 2시간가량 앞산 생태계에 대해 설명한 뒤 "앞산을 살리는 길이라면 뭐든지 할 테니 연락만 해달라"고 거듭 당부했다. 앞산을 아끼고 걱정하는 이들이 한둘이 아니었다.

앞산은 대구시민 4만∼5만 명이 매일 앞마당같이 드나드는 곳이다. 시민들은 자연 그대로의 공원이 되길 바란다. 작은 산림계획이라도 먼 미래를 고려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을 필요가 있다. 큰 돈 들이지 않아도 된다. 성의만 있으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다.

서상현기자 ssan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