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벤처가 없다"…동대구 벤처벨리 '찬밥신세'

'위기의 동대구 벤처밸리'(상)-이름뿐인 벤처밸리

조해녕 대구시장이 최근 일본 교토 등지를 직접 방문, 벤치마킹에 적극 나서는 등 대구시의 역세권 개발에 대한 의지 및 기대감이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어 동대구역세권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동대구벤처밸리'의 활성화 여부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동대구벤처밸리는 유망 벤처기업들을 한 곳에 모아 신기술사업화·정보·마케팅·투자 등 관련 비즈니스를 활성화시켜 지역의 대표적인 '벤처밸리'로 집중 육성한다는 계획에 따라 조성된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이다. 하지만 벤처기업 입주 건물 확보 외에는 이렇다할 사업이 없고, 최근에는 예산조차 제대로 지원받지 못하는 등 거의 내팽개치다시피 된지 오래다.

동대구벤처밸리가 대구시의 동대구역세권 개발과 함께 다시 화려하게 일어설 수 있을지, 아니면 이대로 이름뿐인 '벤처집적지'로 주저앉을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동대구벤처밸리의 현황과 전망을 점검해본다.

(상) 벤처기업 없는 동대구벤처밸리

대구시의 동대구벤처밸리 조성 및 활성화 사업이 지지부진하다. 동대구역에서 범어네거리(2㎞)에 이르는 동대구벤처밸리에는 대구벤처센터(대구테크노파크) 및 대구 e-벤처센터 등 건물 2개와 이들 건물에 입주해 있는 업체들 외엔 이렇다할 인프라도, 벤처기업도 없다.

벤처밸리 내 기업체 수도 수년 째 제자리 걸음 상태로 그야말로 말뿐인 벤처기업 집적지로 전락했다. 지난 2003년 96곳이던 업체 수는 2004년 97곳, 지난해 99곳으로 고작 3곳 늘었을 뿐이다. 이중 벤처업체는 30개 안팎뿐이고 나머지는 일반 중소기업이다. 게다가 대구벤처센터 두 곳의 입주업체(20여 개) 등 일부 업체 이외엔 대다수가 영세한 규모이지만 입주 시설, 기술 및 예산 등 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해 문을 닫거나 아예 다른 곳으로 옮겨가는 추세다. 실제 지난 2003년 96개 업체 중 24곳이 이미 이전했거나 폐업했다.

사업비 확보에서도 '찬반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조성사업 사업비(2002~2005년)의 경우 애초 책정됐던 180억 원의 60% 수준인 114억 원에 그쳤다. 2002, 2003년의 경우 예정대로 집행됐지만 2004년엔 42억 원 중 절반에도 못 미치는 17억 원, 지난해엔 47억7천500만 원 중 고작 6억3천200만 원을 지원받았다. 올해도 20억 원의 예산을 신청했지만 현재 사업비 확보가 불투명한 상태. 이는 전국 테크노파크 사업이 확산되면서 정부가 연차적으로 예산 배분을 줄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지난 2000년 11월 동대구로 일대 27만 평이 중소기업청으로부터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로 지정되면서 큰 꿈을 안고 시작된 '동대구벤처밸리' 조성 사업이 수년이 지나도록 이렇다할 성과를 내지 못한채 머뭇거리고만 있는 실정이다.

홍석준 대구테크노파크 부단장은 "인프라, 예산 부족 등으로 벤처기업 집적화 사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집적화 및 혁신 클러스터 효과를 높이고 벤처밸리 사업 취지를 살리기 위해선 인프라 구축에 적극 나서 클러스터 구심력이 큰 국내 수준급 선도기업을 유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홍 부단장은 또 "지난 2003년 지정된 성서공단 촉진지구의 경우 첨단산업단지, 벤처공장 등 인프라 확충 및 선도기업 유치 등으로 첨단·벤처기업 집적 및 클러스터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며 "동대구벤처밸리의 경우 현재와 같이 업체 및 인프라 등이 '점'으로 연결돼선 집적지로서의 의미가 없는 만큼 클러스터를 조성할 수 있도록 활용 가능한 부지와 시설을 최대한 확보하는 등 과감하게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hoper@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