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경제통합 양해각서 체결

대구시와 경상북도는 20일 오전 11시 대구시 수성구 중동 대동타워 2층 리더스클럽 컨벤션홀에서 시·도 경제통합 양해각서(MOU)를 체결, 상생 협력을 통한 공동번영의 새장을 여는 첫걸음을 내디뎠다.

이날 양해각서 체결식에는 조해녕 대구시장, 이의근 경북지사를 비롯 시·도의회 의장단 및 의원, 지역대학 총·학장, 대구경북연구원 이사진, 대구경북경제통합포럼 대표·운영위원·자문위원, 시·도 공무원 등 각계각층 대표 100여 명이 참석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양해각서에서 시·도는 "21세기 급격한 대내외 환경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새로운 도약을 이루기 위해서는 경북, 대구 지역 전체의 발전을 위한 정책공조 및 사업의 발굴·추진, 파급효과의 공유 등 행정구역을 초월한 대승적 협력이 절실함을 함께 인식한다"고 선언했다.

또 경제통합이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구시와 경북도의 부시장 및 부지사를 공동위원장으로 하고 전문가와 공무원이 함께 참여하는 '대구경북경제통합추진위원회'를 구성, 운영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시·도 경제통합 활동은 ▷실천이 쉬우면서 협력의 효과가 큰 분야부터 우선 추진하고 ▷시·도간 역할분담을 통해 각 지역이 지닌 강점과 잠재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국비 확보 등 대외적 활동에 적극 협력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 이날 MOU를 통해 '경제통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성과는 경북의 낙후지역 발전을 위한 사업에 우선 배분하여 지역 전체의 균형발전을 도모한다'는 내용을 명시, 경제통합에 따른 일부지역의 소외 우려를 불식시켰다.

대구경북연구원 홍철 원장은 "정책 공조와 협력을 바탕으로 한 대구경북 경제통합 노력은 우리지역의 21세기 생존 전략"이라면서 "과거 개발경제시대의 산업사회적 패러다임과 행정중심주의 사고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한 일부의 반발도 있겠지만, 지역의 경쟁력 및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태의연한 낡은 틀을 과감하게 깨트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석민기자 sukmin@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