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소비지출이 회복되면서 '총저축액'이 25년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국민계정 통계상에 '총저축'은 국민총처분가능소득에서 민간과 정부의 소비지출을 차감한 것이다.
2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은 803조3천억 원이었으며 이가운데 67.0%인 538조4천억 원이 소비지출되고 나머지 33.0%인 264조9천억 원이 총저축으로 남았다. 2004년의 총저축액은 271조4천억 원이었으나 지난해 6조5천억 원(2.4%) 감소했다. 총저축액이 전년보다 감소한 경우는 지난 1980년 이후 25년만에 처음이다.
지난해 총저축액이 감소한 이유는 국민총처분가능소득 증가폭보다 소비지출이 더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극심한 내수불황이 계속됐던 2004년의 경우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이 7.8% 늘어난가운데 소비지출이 4.5% 증가한 반면 2005년에는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이 3.2% 증가한 가운데 소비지출이 6.2% 증가했기 때문이다. 2004년의 소비위축이 지난해는 소비회복으로 전환되면서 총저축이 줄어든 것이다. 한마디로 물가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가운데 경기회복으로 소비가 살아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현상이다.
한국은행은 "인플레이션이 심했던 70~80년대는 소비지출 증가폭보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이 더 빠르게 증가, 총저축액도 함께 증가해왔다."면서 "그러나 지난해는 물가상승률이 극히 낮은 가운데 소비지출이 크게 늘면서 총저축액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