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뉴욕타임스는 29일(현지시간) 프랑스의 파업 및 시위 사태와 관련, "프랑스에선 파업을 해도 일자리를 잃을 걱정이 없기때문에 파업이 잦다"고 비판했다.
전체 근로자 가운데 노조원이 8%에 불과, 노조가입률이 극히 낮음에도 불구하고 노조가 정부에 대해 막대한 힘을 발휘하고 있는 것은 헌법에 파업권이 보장돼 있기때문이라는 것. 프랑스의 노조 지도자들은 다수 조합원들의 지지를 받을 필요 없이 소수 만으로도 파업을 선포할 수 있으며, 이들이 파업에 돌입할 경우 다른 동료들은 노조 가입여부와 관계없이 그날 하루를 쉴 수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파업을 하면 일자리에서 쫓겨날 위험에 처하지만 프랑스에서는노조원이건, 비노조원이건 파업에 참여해서 잃는 것은 하루 임금 뿐이라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프랑스 노조가 이처럼 강력한 파업권을 갖게 된 것은 세계 제2차 대전 당시 나치와 협력했던 프랑스의 극우세력이 신임을 잃고 공산당이 강력한 힘을 얻으면서 헌법에 파업권을 명확히 포함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
헌법이 파업권을 보호함에 따라 모든 노동자가 매년 최소한 5주일의 휴가를 즐기고 주당 근로시간을 세계 최저 수준인 35시간으로 못박아 놓을 수 있었다는 것.
특히 프랑스 혁명이라는 낭만적 유산을 갖고 있는 프랑스 시민들이 파업을 노동자들의 당연한 권리행사로 여기고 있는 점도 파업이 잦은 이유 중 하나라고 뉴욕타임스는 덧붙였다.
뉴욕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