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 고3 재학생입니다. 봄이라서 그런지 수업시간이나 자율학습 시간에 몰두하기가 어렵고 잠만 쏟아집니다. 잡념을 없애고 집중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답 : 어느 누구도 장기간 계속 긴장해서 어떤 일에 집중할 수는 없습니다. 날이 따뜻해지면서 수업 시간 중에 자신도 모르게 조는 경우가 더러 있는데 어느 정도까지는 자연스러운 생리적 현상이기 때문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공부를 하다보면 잘 되는 날도 있고 그렇지 못한 날도 있게 마련입니다. 그러나 공부가 잘 안 되는 기간이 길게 이어진다면 자신에게 정직하게 물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공부하고자 하는 의욕과 열의는 있는데 힘이 든다고 생각합니까? 만약 그렇다면 휴식과 기분 전환이 필요합니다. 주말에 영화 구경을 가거나 음악을 듣거나 운동을 해보기 바랍니다. 판에 박힌 일상이 가져오는 일시적인 권태나 의욕 상실을 해소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육체적으로는 땀을 흘리는 것이고, 정신적으로는 가슴 뭉클한 감동을 맛보는 것입니다. 집중이 잘 안 되는데 계속 무리하게 버티고 앉아 있으면 위장 장애를 비롯해 질병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말에 푹 쉬면서 자신이 가장 즐거울 수 있는 일을 해보기 바랍니다.
끊임없이 잠만 쏟아지고 깨어 있는 시간에는 까닭 없이 불안하고 장래에 대해 확신이 서지 않습니까?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그냥 무기력증에 빠져 있다고 생각합니까? 학습 방법에 자신이 없을 뿐만 아니라 기대한 만큼의 진전이 없어 성취감을 못 느끼기 때문에 그런 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시간을 내어서 자신의 학습 방법과 생활 습관을 돌이켜 보기 바랍니다. 일테면 개본 개념이나 원리의 이해에 충분한 노력과 시간을 투자하지 않은 채 문제 풀이에만 치중하지는 않았는가, 밤낮이 바뀌어 수업 시간에 충실하지 않고 조는 일이 많지는 않았는가 등을 반성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본인 스스로 원인을 알 수 없고 해결책도 찾을 수 없다면 선생님과 상담해 보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집중력을 배가시키기 위해서는 주간학습 계획과 함께 실천 가능한 일일 학습계획을 세우십시오. 그런 다음 그날 정한 목표는 반드시 달성하겠다며 스스로를 다그치면 잡념이 사라지고 집중이 잘 될 것입니다. 자연에서는 양이 축적되어야 질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부도 마찬가지입니다. 학습량이 쌓이게 되면 어느 순간 자신도 모르게 구체적인 점수 변화로의 비약이 일어납니다. 변화가 일어나기까지는 꾸준히 노력하면서 현명하게 기다릴 줄을 알아야 합니다. 푹 자고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면 춘곤증을 이기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1학기에는 많은 문제를 풀어보기 보다는 기본 개념과 원리의 이해에 중점을 두며 차근차근 천천히 정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음의 여유와 낙관적인 자세를 가지면 훨씬 몰두가 잘 되고 생활이 즐거울 것입니다.
윤일현(송원학원진학지도실장 ihnyoon@hanmail.net)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