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이 달러당 928원까지 내려가면 중소기업들의 수출은 불가능해진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환율하락에 따라 적자상태인 중소기업이 4분의 1을 넘은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원·엔 환율 급락으로 달러 결제 수출기업보다 엔화 결제 기업의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연구원(KIET)이 423개 중소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해 9일 내놓은 '원화강세에 따른 수출 중소기업의 영향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기업의 손익분기점 원·달러 환율은 평균 1천12원, 수출 불가능 환율은 928원으로 조사됐다.
업종별 손익분기점 환율은 기계 1천5원, 화학공업 1천8원, 전기·전자 1천9원 등으로 평균보다 낮았고 섬유·의류는 1천14원, 철강·금속은 1천21원이었다. 수출 불가능 환율은 전기·전자 921원, 화학공업 924원, 기계 927원 등으로 평균보다 낮았고 섬유·의류는 935원, 철강·금속은 945원으로 각각 평균수준보다 높았다.
환율하락으로 손익분기점에 직면했다는 기업은 54.6%에 달했고 이미 적자라는 기업도 26%에 이르러 80%를 넘는 기업이 환율하락으로 손익분기점에 달했거나 적자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화학공업, 철강.금속, 섬유.의류 업체의 경우 이미 적자상태라는 비율이 30%를 넘었다.
수출대금을 엔화로 결제하는 중소기업의 경우 손익분기점 환율이 100엔당 평균 971원으로 조사돼 지난 7일 809.24원선 까지 떨어진 원·엔 환율을 감안하면 달러 결제 기업보다 어려움이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환율하락 지속시 해외시장에서의 가격경쟁력 변화 전망에 대해서는 48.2%가 '다소 악화', 39.9%가 '현저히 악화'라고 응답해 88.1%가 악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환율하락에 따른 애로요인으로는 '가격경쟁력 유지 곤란'이 44.9%로 가장 많았고 '채산성 악화'가 40.2%, '수출시장 유지 곤란'이 10.9% 등이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