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박상배 前부총재 등 2명 긴급체포

현대차그룹 계열사 부채탕감 비리 사건을 수사 중인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는 14일 박상배(60) 전 산업은행 부총재 등 2명이 금품 로비를 받은 정황을 포착, 긴급체포해 조사 중이다.

검찰 관계자는 "㈜위아와 아주금속공업㈜이 산업은행이 보유하고 있던 자사의 담보부 채권을 되사들이는 과정에 박 전 부총재와 이성근(57) 산은캐피탈 사장이 개입한 단서를 잡고 출국금지 조치를 취한 데 이어 오늘 아침 8시께 긴급체포했다"고 밝혔다.

박 전 부총재의 입행 1년 후배인 이 사장은 부채탕감 비리 사건 당시 박 전 부총재 밑에서 투자본부장으로 일하며 위아 채권 1천425억원 매각업무를 담당했다.

검찰은 박 전 부총재와 이 사장의 범죄 연루 정황을 우회적으로나마 언급한 점에 비춰 조사를 거쳐 늦어도 15일 중 구속영장을 청구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또 현대차 계열사의 부채탕감 비리에 연루된 의혹을 받고 있는 산업은행 임직원 수명을 출금조치한 데 이어 조만간 소환 조사할 계획이다.

검찰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위아에 대한 1천억원 상당의 담보부 채권을 자산관리공사(캠코)에 매각했다 캠코의 풋백옵션(put-back option) 행사로 다시 되사들인 뒤 이 채권을 공매에 부쳐 기업구조조정전문회사(CRC)에 795억원에 싸게 팔았다.

박 전 부총재와 이 사장은 이 과정에서 현대차그룹 로비자금을 제공받은 전 안건회계법인 대표 김동훈(57·구속수감)씨로부터 수억원의 금품을 제공받고 부실채권 매각·재매입 과정에 관여한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이들은 또 위아와 아주금속공업 채권을 CRC에 매각하는 과정에서 낙찰 승인 가액을 특정 CRC에 유출한 혐의도 받고 있다.

산업은행도 현대차그룹 계열사의 부실채권을 CRC에 매각하면서 수백억원의 공적자금을 지원받았다.

그러나 박씨는 "돈을 받은 사실이 없다"며 혐의를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조만간 현대차그룹 계열사측 브로커로 알려진 김씨의 로비를 받은 금융감독원과 캠코 고위인사 등도 소환해 금품 수수 및 부실채무 탕감과정 개입 여부도 조사할 방침이다.

채동욱 대검 기획관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현대차그룹 계열사의 부실채무 탕감 사건은 외환위기 당시 손실을 본 금융기관에 공적자금이 투입되는 시스템을 최대한 악용한 사건이다. 이 사건 관련 로비 의혹은 별도로 철저히 수사할 것이다"고 밝혔다.

캠코는 부채탕감 의혹이 제기되자 "현대차그룹 계열사 부실채권을 팔았던 산업은행이 환매(재매입)하겠다는 의사를 밝혀와 이를 넘겼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산업은행은 "부실채권 매각가격은 현대차그룹 계열사의 경영정상화가 힘든 상황이어서 높은 가격이었다"고 해명했다.

한편 채 기획관은 정몽구 회장과 아들인 정의선 기아차 사장의 사법처리 여부와 관련 "4월 말쯤이면 알 수 있을 것이다"고 말해 늦어도 이달 말까지는 현대차 그룹 비자금 사건 수사가 종결될 것임을 시사했다.

검찰은 본텍을 고가에 인수해 정 사장에게 막대한 평가이익을 안겨준 혐의를 받고 있는 현대오토넷 이일장 전 사장과 주영섭 현 사장의 구속영장은 14일 중 청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