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中 언론 "독도교섭 결과 일본 유리" 분석

일본의 동해도발을 둘러싼 한.일 양국의 외교교섭은 일단 타결됐으나 그 결과는 일본에 유리하게 됐다고 중국 언론이 23일 분석했다.

경화시보(京華時報)는 '한.일 독도 담판 결과 일본에 유리'라는 제목의 뉴스분석 기사에서 "회담 결과로 볼 때 한.일 양측이 한 걸음씩 양보해 서로 손해를 본 것은 없으나 이번 사건은 시종 일본이 주도권을 쥐었다는 사실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신문은 양국 간의 타협 달성으로 한국이 독도 부근 수역의 한국식 지명 등재계획을 미룸에 따라 일본은 바라는 바를 이뤘으며, 일본이 측량계획을 취소했으나 지금까지 30년 동안 이 해역에 대한 측량을 실시한 바 없기 때문에 이것 역시 일본의 손실이 아니라고 평가했다.

신문은 또 일본은 이번 사건의 원인이었던 측량계획을 다시는 추진하지 않겠다는 약속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앞으로 필요한 상황이 되면 이번과 같은 '낡은 수법'을 다시 써먹을 수 있으며 그 대가로 지출하는 것은 두 척의 선박과 몇 명의 외교관을 파견하는데 불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문은 이어 "일본의 '도발'을 받은 한국측의 반응은 강력해 무력동원 불사의 자세까지 보여 국제사회로부터 높은 관심을 끌었으나 이것 역시 일본이 의도하는 바와 딱 들어맞는 것이었다"고 주장했다.

한국으로서는 독도를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어 의외의 사태가 발생하거나 다른 나라의 주목을 끄는 것을 바라지 않겠지만 일본으로서는 지배권이 없어 아무 꺼릴 것도 없기 때문에 독도문제가 관심을 끌면 끌수록 이 문제를 '확대화'.'국제화'하려는 자국의 목적에 더욱 들어맞게 된다는 것이다.

베이징신보(北京晨報)도 이와 유사한 분석기사를 게재했으며, 다른 언론은 '한.일 독도분쟁 극적 타결, 당초 계획 일단 포기', '교전 1보전 일.한 타협', '한.일 돌파구 마련, 최후순간 타협달성' 등의 제목으로 한.일 외교교섭 결과를 보도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