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준공영제 후 '버스요금 삥땅' 제보 잇따라

대구시가 지난 2월 18일부터 버스회사의 적자를 세금으로 메꿔주는 '준공영제' 실시 이후 버스회사가 예전보다 수익금 관리에 소홀, 기사들의 '요금 삥땅'이 재연되고 있다고 업계 관계자들이 대구시와 언론사 등에 잇따라 의혹을 제기해 대구시가 대책마련에 나섰다.

제보내용에 따르면 일부 버스기사들이 요금함에 승객들이 넣은 지폐를 운송 수입금으로 대구시에 제대로 전달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사용하며 금액은 몇 천 원에서 1만 원선 정도에 이른다는 것.

25년 경력의 버스기사 A 씨는 "전에는 버스회사들이 CCTV를 설치하거나 암행순찰을 도는 등 요금횡령 방지에 신경을 곤두세웠지만 준공영제 실시뒤 거의 신경을 쓰지 않는다."며 "승객이 많은 노선인데도 요금통이 비는 경우가 적잖다."고 털어놨다.

다른 버스기사 B 씨는 "버스 요금함에 현금이 쌓이면 용수철 장치가 돼 있는 요금통 입구로 무거운 동전은 떨어지고 지폐는 남게 되는데 요금통만 사무실로 넘기고 지폐는 빼돌리는 게 주된 수법"이라고 폭로했다.

버스기사 C 씨는 "운송 수입금 대비 운영적자를 시에서 보전해 주다보니 수입금 관리가 허술해 진 것이 사실"이라며 "마음만 먹으면 요금을 '삥땅'하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버스기사들의 요금 '삥땅' 제보를 잇따라 접수, 25일부터 요금누수 방지 대책 수립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새나가는 운송수입금이 시민들의 세금으로 채워져야 한다는 점에서 삥땅을 반드시 막아야 한다는 것.

대구시는 민간업체와 시민단체, 시내버스 노조 등과 합동으로 요금함을 봉인, 요금횡령을 막기로 했다. 또 버스 앞문이 개폐될 때 자동으로 현금이 요금통 안으로 들어가는 새로운 요금함을 고안 중이다.

진용환 대구시 버스개혁기획단장은 "버스 내에 CCTV를 설치할 수도 있겠지만 비용이 만만치 않아 고민"이라며 "우선 요금함 개선 등 긴급 보완책을 시행할 예정이며 내년까지 교통카드 사용률이 90%대로 높아지면 요금 횡령은 원천 차단될 것"이라고 했다.

이같은 의혹제기와 관련, 회사 측은 '사실 무근'이라며 반박했다. 한 버스회사 관계자는 "감시 시스템이 따로 있는 건 아니지만 삥땅은 결코 없다."고 부인했다. 다른 버스회사 관계자는 "그런 일이 있는 지 확인해 줄 수 없다."며 답변을 거부했다.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