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 운동이 다시 아시아 개발국가들의 경제발전 모델이 되고 있다. 세계적인 경제대국을 꿈꾸는 중국이 연 1만 명의 공무원을 한국에 보내 새마을 운동을 배우게 하는가 하면 경북도는 이미 베트남, 캄보디아 등지에 새마을 운동 수출길을 개척하고 있다. 1980년대 이후 말레이지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경제적 근대화의 모델로 벤치마킹했던 새마을 운동이 다시 거대 중국을 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한류'로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세계 경제 무한 경쟁시대를 맞아 36년전에 시작된 새마을 운동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그 과거와 현재를 살펴본다.
1970년 4월22일 박정희 대통령은 부산에서 열린 한해대책 지방행정기관장 회의에서 새마을운동을 전개할 것을 천명했다. 당시 박 대통령은 즉석연설을 통해 "주민들의 자발적인 의욕이 우러나지 않는 마을은 5천년이 가도 일어서지 못할 것입니다. 마을주민들이 해보겠다는 의욕을 갖고 나서면 정부에서 조금만 도와줘도 2, 3년이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 금년에는 주민들의 힘으로 길을 닦고 다리를 놓아야 겠습니다. 주민들의 힘으로 할 수 없는 것은 군이나 도에 지원을 요청하고 나머지는 주민들의 힘으로 해보자는 것입니다. 이 운동을 새마을가꾸기운동이라 해도 좋고 알뜰한 마을만들기 운동이라 해도 좋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대통령의 말이 법이나 다름없던 당시 박대통령의 이 말은 즉시 시행에 옮겨졌고, 새마을 운동이라는 이름으로 전국 방방곡곡에 메아리쳐 우리나라의 근대화를 기틀을 쌓은 계기가 됐다.
새마을운동을 전개하기 이전인 1910~1960년 주식인 벼농사는 ha(3천평)당 쌀 1.5~2t을 생산하는 데 머물렀다. 1960년대 이후 녹색혁명으로 4, 5t수준으로 높아지면서 농촌에서는 보릿고개가 사라지게 됐지만 전근대적 생활환경들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1970년대 초 농촌의 80%는 초가집이고 전기가 들어간 마을은 20%에도 못미쳤다. 마을까지 자동차가 들어갈 수 없는 곳이 절반을 넘고, 농촌 산간 마을의 경우는 안길이 비좁고 구불구불해 동력경운기가 지나갈 수 없는 곳이 대다수였다.
당시 정부에서 농촌의 생활환경 개선을 담당하는 부서는 아예 없어 농촌생활환경 개선은 요원했다. 농촌을 담당하던 농림부 직제가 주로 식량을 생산하고 관리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기 때문이다. 제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72~76년)에 조차 농촌 도로 개설이나 전기, 전화 공급 정책은 전무했다. 농민들은 초가지붕과 등잔불 밑에서 생활을 하고 있었다.
이런 가운데 시작된 새마을 운동은 농어촌의 생활환경개선사업을 시작으로 전기·전화가설, 식량증산으로 이어지면서 우리 농촌의 근대화를 가로막고 있던 여러 요인들을 동시에 제거, 근대화를 앞당겼다.
1970년대를 살아온 많은 사람들이 30년이 훌쩍 지난 지금에도 새마을 운동의 뜨거웠던 열기를 잊지못하는 것은 이 운동이 단순한 생활환경개선사업이 아니라 잘살기위한 국민정신운동이었기 때문이다. '근면, 자조, 협동'이라는 3가지 단어로 대변되는 새마을 운동은 그 추진과정에서의 논란은 있지만 한국이 오늘날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하게 된 모태가 됐다는 데는 누구도 부정하지 않는다.
황재성기자 jsgold@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