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그룹 비자금이 2002년 대선 당시 집중적으로 움직인 사실이 검찰 수사에서 드러났다. 그룹 비자금 총 1천300억 원 가운데 이 해 조성한 480억 원 중 200억 원가량이 대통령 선거 기간인 8~12월 사이에 뭉텅이로 빠져나갔다. 당연히 정치권으로 흘러 들어갔다는 의심이 든다. 이미 현대차는 2002년 대선 당시 한나라당에 차떼기로 100억 원을, 노무현 캠프에 6억 6천만 원을 제공한 전비가 있다.
그런데 '차떼기 돈'은 현대 캐피탈 지하 금고에 있던 돈이고, 이번 비자금은 글로비스 비밀 금고 돈이다. 그렇다면 현대차는 2002년 대선 당시 최소한 300억 원 이상의 불법 대선 자금을 정치권에 밀어 넣지 않았느냐는 의심을 살 수밖에 없다. 글로비스 비자금 금고에서 빠져나간 돈이 2002년 9월 21억 원, 10월 31억 원, 11월 52억 원 식으로 대선 막판에 갈수록 커졌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때 선거는 막판 대혼전이 일면서 노무현'이회창 양 진영이 피 말리는 싸움을 하던 상황이다. 그와 관련은 없는가.
검찰은 정몽구 회장 구속 이유가 죄질도 나쁘지만 투명한 경영을 위해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겠다는 의지라고 밝히고 있다. 그 말은 불법 대선 자금이 오고 간 진상을 낱낱이 밝힐 때 설득력이 있다. 기업의 비자금은 정치권도 공범이다. 기업들이 정치자금에 그렇게 데이면서도 또 비자금을 조성하는 것은 정치권의 어두운 압력이 사라지지 않기 때문이다.
검찰이 지난번 삼성그룹의 2002년 대선 자금 수사처럼 어물쩍 넘어가서는, 모처럼 얻고 있는 국민적 신뢰를 잃고 만다. 정치권 유입의 혐의가 짙은 뭉칫돈 용처에 법과 원칙을 거두어들일 수는 없다. 투명한 경영은 투명한 정치와도 닿아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