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고령층에 진입하는 45세 이상 장년층 10명중 8명 정도는 자녀와 같이 살기를 원치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9일 대한주택공사 산하 주택도시연구원에 따르면 전국 65세 이상 고령자 703명과 45-64세 고령진입층 784명을 대상으로 주거욕구를 조사한 결과 자녀와 동거하지 않겠다는 고령진입층의 응답은 도시지역이 79.3%, 농촌지역이 76.6%였다.
반면 고령층의 경우 도시지역 50.6%, 농촌 61%만이 자녀와 가까이 살더라도 따로 생활하겠다고 답했다.
꼭 자녀와 같이 살고 싶다는 답변도 고령진입층은 도시 9.6%, 농촌 11.7%에 불과해 고령자층(도시 30.8%, 농촌 14.8%)과 대조를 보였다.
주택소유에 대한 의식은 고령진입층의 경우 '반드시 소유해야 한다'는 답변이 도시와 농촌 모두 86.8%, 92.4%에 달해 주택에 대한 강한 소유의식을 보여줬다.
또 도시 고령진입층은 5점 만점을 기준으로 노후에 대비해 준비해야 할 사항으로 건강(3.13점), 주택(3.10점), 경제(3.07점), 소득(2.74점)을 꼽았다.
노후의 사회활동으로는 취미활동(38.4%), 취직 및 전원생활(각 21.3%), 봉사활동(16.9%)을 많이 생각했다.
살고싶은 주거환경 요건으로는 가까운 의료시설(4.22점), 교통편리(4.23점), 치안 확보(4.16점) 등을 들었고 예상주거생활은 현재보다 나아지거나(56.5%), 비슷할 것(35.5%)으로 내다봤다.
현재 살고 있는 집에 대한 선호도는 건강했을 때(54.7%)가 건강이 나빠졌을 때(29.9%)나 혼자됐을 때(24.5%)에 비해 훨씬 높았다.
반면 고령자 전용 국민임대주택과 노인공동주택, 실버타운 등에 대한 선호도는 건강했을때(8.8%)보다 아프거나((31.4%), 혼자됐을 때(39.7%)가 높았다.
주택도시연구원은 "조사결과 다가올 고령화사회에 대비하려면 의료시설 등 풍부한 기반시설과 주거비 지출을 염려하지 않는 주거생활 보장, 정부의 적극적이면서 다양한 주거지원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