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제칼럼] 경제통합할 인물을 뽑자

내일부터 5·31지방선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이번 선거는 매니페스토 정책선거 운동 바람이 일어나면서 후보자들의 공약도 예전보다는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성을 가진 것들이 많아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또한 대구경북경제통합이 시·도지사 선거의 주요 이슈로 떠오른 것은 고무적인 일일 것이다. 때를 맞춰 시·도가 전국 최초로 다가오는 9월에 '2006 대한민국 지역특구박람회'를 공동 개최키로 하는 등 분위기 조성도 되고 있다.

사실 지난 수세기 동안 대구와 경북은 항상 하나였다. 끈끈한 정과 투박한 의리로 뭉친 우리 선조들은 언제나 역사의 중심에 서 있었다.

1981년 대구가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행정 분리가 이루어진 이후 25년의 세월이 흘렀다. 경제를 비롯해 사회 전반에 걸친 갈라서기가 알게 모르게 진행되고 최근에는 갈등과 대립을 낳는 사례들도 적잖게 일어났다. 옛말에 멀리 있는 친척보다 가까운 아웃이 더 좋다는 말이 있다. 하물며 한 살림을 꾸렸던 형제간이야 무슨 말이 더 필요하겠는가?

지난 4반세기 대구 따로 경북 따로의 경제는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했다. 대구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했고, 경북 역시 웅도의 위용을 지켜내기가 힘겨워졌다.

이에 대한 반성의 첫 단추가 경제통합이다. 경제통합은 같은 뿌리를 둔 두 지역이 서로 끌어주고 밀어주며 더불어 잘살기 위한 선택이다.

함께 울고, 함께 웃으며, 나누고 도와주던 '상생'의 전통을 되찾기 위해 경제부터 통합해야 한다. 대구·경북이 손을 맞잡고 다시 뛰어야 할 때인 것이다.

세계화와 지역화의 21세기는 어느 나라, 어느 도시, 어느 지역이든 '나 홀로' 고립되어서는 살아남지 못한다. 경제통합은 미래의 윤택한 삶을 담보하는 새로운 생존전략인 것이다.

그동안 딴 호주머니를 고집한 대구와 경북, 그 경제적 부작용은 컸다.

구미는 전자산업의 메카임에도 최첨단 전자공장을 수도권에 빼앗기고, 대구 지하철 2호선 경산 연장이 지연되면서 주민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그 손실액만도 1천170억 원으로 추정된다. 계획 단계부터 시·도가 협력하지 못한 것이 두고두고 아쉬운 대목이다.

그러나 지난 2003년 돛을 올린 대구경북한방산업공동기획단은 대구경북에 산재한 한방 자원을 체계적으로 산업화시키기 위해 한방산업진흥원 설립, 한약자원 연구개발, 우수 한약제 생산 가공, 한약재 품질인증 등의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DGIST 설립, 경주문화엑스포와 유니버시아드 대회 등에서의 협력은 대구.경북이 하나될 때 어떤 시너지 효과를 낳을 수 있는지를 보여준 좋은 얘들이다.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대구경북경제권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공간적 분업과 긴밀한 협력 체계의 구축을 필요로 한다. 산업협력, 생활권 연계, 경쟁력 제고를 통해 예산 낭비를 줄이고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가능해질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흡사한 가칭 '대구경북개발청'의 설립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이 개발청은 외자유치, 지역별 특화 클러스터 육성, 광역 클러스터 구축, 권역별 다양한 특구 지정, 인재양성과 기술개발 자금 지원, 권역별 지역구조조정 기금 조성 및 선별보조금 지급 등의 업무를 전담하게 해야 한다.

이왕에 이번 지방선거가 지역의 미래를 책임질 일꾼을 뽑는 선거라면 앞으로 있을 TV토론회 등에서 다양한 의견들이 나오겠지만 자신이 가진 권한을 과감하게 버릴 수 있는 후보를 시·도지사로 뽑자.

지금까지 지방자치제가 뿌리를 내리지 못한 것은 중앙정부의 지방 예속화 정책 때문이었다. 이제 경제만큼은 전문가에게 뚝 떼어줄 수 있는 광역자치단체장이 필요하다.

후보들이 내놓은 약속들이 선거용 헛 공약이 되지 않도록 유권자가 정신 바짝 차려야 한다. 그리고 대구.경북경제통합에 대한 확고한 의지와 방향을 가진 후보에게 표를 던지자. 대구·경북의 장래가 걸린 중차대한 일이기 때문이다.

김만제 낙동경제포럼 이사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