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근태 승계'와 '김근태 비대위' 차이는

비대위쪽이 강화된 권한행사 가능할 듯

안갯속이던 열린우리당의 후임 지도체제 논란이 결국 '김근태(金槿泰) 비대위 체제'로 가닥을 잡아가는 형국이다.

현 지도부인 최고위원단 해산 이후 들어설 비상대책위 위원장에 김근태 최고위원이 가장 유력히 거론되고 있는 것. 우상호(禹相虎) 대변인은 "현실적으로 김 최고위원 외에는 대안이 없다는 의견이 대세"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물론 7일 의원총회-중앙위원 연석회의의 최종 추인절차를 남겨놓고 있지만 김 최고위원이 비대위원장으로서 정동영(鄭東泳) 전 의장의 잔여임기(10개월)를 채울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직행'이냐 '우회'냐는 외견상 차이를 보이고 있는 '김근태 승계 체제'와 '김근태 비대위 체제'는 내용상으로는 미묘한 '질적 차이'가 있다.

김 최고위원이 의장직을 승계했다면 김두관(金斗官) 김혁규(金爀珪) 조배숙(趙培淑) 최고위원은 잔류했겠지만, 김 최고위원이 비대위원장을 맡게 된다면 이들은 새로운 인물들에게 자리를 내줄 공산이 크다.

우 대변인은 "같이 일하는 '파트너'들이 바뀌는게 큰 차이점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하지만 이보다는 김 최고위원이 갖는 권한상의 변화가 더 크다는게 당내의 분석이다. 김 최고위원이 비대위원장을 맡을 경우 의장직 승계보다는 권한이 훨씬 막강해질 것이라는 얘기다.

먼저 김 최고위원의 의장직 승계는 "도의적으로 당신이라도 남아서 뒷수습을 해야 하지 않느냐"는 논리에서 출발했다. 이는 선거패배의 공동책임론에서 벗어나기 힘든 김 최고위원의 운신 폭을 제약할 소지가 많았다.

반면 비대위원장을 맡으면 상황은 사뭇 달라진다. 다시말해 "위기를 탈출시킬 인물로는 당신 밖에 없다"는 '구원투수론'에 힘입어 위상이 훨씬 강화될 여지가 있을 것이라는 얘기이다.

이런 분위기는 실질적 권한의 차이로 나타날 것이란 예상이다. '평시'의 당 의장은 각종 당무집행에 있어 최고의결기구인 중앙위원회로부터 일정한 '견제'를 받도록 돼있다.

그러나 '비상시'의 비대위원장은 중앙위원회로부터 거의 '전권'을 위임받을 가능성이 높다는게 당 관계자들의 얘기다. 당 핵심관계자는 "지도부의 성격이 표현상 '임시지도부'이지 '정식지도부' 이상의 권한을 부여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대위는 또 다시 불거질 수 있는 7.26 재.보선에 대한 책임론에서도 어느 정도 부담을 덜 수 있는 체제로 받아들여진다.

당의장 승계시라면 재.보선 패배에 따른 인책론에 노출될 개연성이 있지만, 비대위 체제 하에서는 이를 대체할 기구를 다시 검토한다는 것 자체가 힘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김 최고위원에게만 국한한다면 비대위원장으로 추대되는 것이 자신의 대권플랜에는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할 소지가 있어 보인다.

비대위원장이 차기 대권관리라는 소임을 맡게돼 있어 '이해당사자'인 김 최고위원에게는 행동반경에 제약이 뒤따를 것이란 전망에서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