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위공무원 평균 '프로필' 보니…

대학에서 행정학이나 경제학을 전공하고 고등고시를 통해 공직에 들어가 22년 이상 재직한 50대 초반의 공무원.

정부수립 이후 처음으로 7월1일부터 시행되는 고위공무원단에 편입되는 1천305 명의 공무원의 평균 프로필이다.

29일 중앙인사위원회에 따르면 고위공무원단에는 중앙행정기관의 3급 이상 실.

국장급 간부와 시.도 부시장.부지사 등 일반직 1천33명(연구.지도직 포함), 비서관등 별정직 205명, 계약직 67명 등 모두 1천305명이 최초로 편입된다.

여성 공무원은 36명으로 2.8%에 불과했다.

◇석사학위 이상 인문계열 전공 고위공무원단 소속 공무원들의 대학 전공분야를 보면 행정학이 19.1%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제학 16.3%, 경영학 5.9%, 교육학 4.8%, 정치학 2.6%, 농학 2.5%, 의학 1.9% 순으로 나타났다.

또 학력은 석사 학위 소지자가 54.1%였고 박사학위 취득자도 24.9%나 됐다. 고위공무원단 소속 공무원의 경우 석.박사 학위 소지자가 10명중 8명이 되는 셈이다.

학사 학위 소지자는 16.5%였고 고졸 이하는 4.5%에 불과했다.

◇고시 58.3%, 7.9급 공채 14.1% 고위공무원 소속은 고시출신이 58.3%로 60%에 가까웠다.

하지만 공채인 7급과 9급 출신은 7.7%와 6.4%에 불과했다.

고시출신 다음으로는 일반직 특채가 19.4%로 많았다.

별정직과 계약직은 5.4%와 2.7%를 각각 차지했다.

고위공무원단 소속 공무원중에는 의사.약사.기술사 등 전문직 자격증 소지자는9.1%였고 13.5%는 기술직 공무원 출신이었다.

◇50대 60.5%로 가장 많아 고위공무원단 소속 공무원의 연령은 50대가 65.3%로 가장 많았다.

평균연령도 50.3세였다.

이어 40대가 33.9%, 30대가 0.6%를 각각 차지했다.

최연소는 별정직 정책보좌관으로 35세였고 최고령은 계약직인 현대미술관장으로70세였다.

평균 총재직 기간은 22년3개월으로 20년 이상 30년 미만 재직자가 70.1%를 차지했다. 30년 이상은 12.2%나 됐고 5년 미만은 10.4%였다. 10년이상∼20년 미만은 6.4 %로 나타났다.

최장기 재직자는 1965년 9급 공채로 들어와 41년이나 근무했고 최단기 재직자는1개월이 채 안됐다.

국장급 승진후 재직기간은 평균 3년2개월로 조사됐다.

◇자가용 출퇴근, 자녀 2명 고위공무원의 출퇴근은 자가용 이용이 절반 가까운 49.2%가 됐다.

이어 지하철 이용이 13.9%, 도보 6.2%, 통근버스 3.1%, 버스 2.3% 순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수는 2명이 71.2%로 가장 많았고 3명은 11.6%, 1명은 11.3%였다.

자녀가 4명인 공직자는 1.1%였다.

◇출신 대학.지역 공개 않기로 고위공무원들은 정부청사가 있는 서울과 경기, 대전에 많이 살고 있었다.

거주지를 보면 서울이 48.9%로 가장 많았고 이어 경기 23.5%, 대전 6.3%였다.

하지만 고위공무원단 소속 공무원의 출신 대학과 지역 분류는 공개가 되지 않았다.

중앙인사위 관계자는 "대학간 서열화를 부추기고 지역감정의 원인이 될 수 있기때문에 출신대학과 지역분류를 공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이번 통계를 중장기적으로 고위공무원단 변화추이를 파악하는지표로 사용할 것"이라면서 "앞으로 외부개방이 확대되면 고위공무원단의 평균 프로필에도 많은 변화가 생길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