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북 미사일,6자회담 물건너 가나

"당분간 협상국면 조성은 물건너갔다." 정부 당국자는 5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북핵 6자회담에 미칠 영향을 이렇게 요약했다.

국제사회의 거듭된 자제 요청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끝내 도발을 감행한 만큼 이에 상응하는 대응조치가 이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발사체의 성격부터 규명하자.'는 신중론도 정부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지만 악화된 국제사회의 여론을 감안할 때 "이런 상황에서 6자회담 얘기를 꺼낼 수 있겠느냐."는 비관론이 확산되고 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쪽은 아무래도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으로 외교가는 보고 있다. 원자바오(溫家寶) 총리 등 수뇌부까지 나서 공개적으로 미사일 발사를 자제하고 6자회담으로 돌아오라는 메시지를 보냈음에도 미사일이 발사된 만큼 중국의 체면이 말이 아니게 됐다.

게다가 최근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부부장이 나머지 참가국 대표들을 불러 이른바 '6자회담 비공식 회의' 개최를 제안한 마당이어서 이래저래 중국은 곤혹스러울 것으로 외교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중국이 위축된다면 이는 곧 6자회담 모멘텀도 동시에 힘을 잃게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첨예한 의견차이를 노정하고 있는 북한과 미국을 그나마 협상장으로 이끌고 있는 것이 중국의 독특한 역할이라는 점에서 이번 미사일 발사가 향후 6자회담에 미칠 영향은 매우 부정적"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7월 한 달은 물론 한동안 6자회담의 모멘텀을 다시 찾기는 어려울 것으로 정부 당국자들은 보고 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