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선후보 지지도 박근혜 '1위'

단체장·지방의원 설문

매일신문이 창간 60주년을 맞아 여론조사기관인 (주)리서치코리아에 의뢰해 대구·경북 단체장과 지방의원 전원을 상대로 지역 현실에 대한 인식과 발전방안, 지방선거 평가 및 대선 전망 등에 대해 알아봤다.

이번 조사는 지난 5·31 지방선거로 당선된 단체장과 지방의원들이 새 출발점에 서서 지역 발전을 위해 어떤 비전을 갖고, 시·도정을 어떤 방향으로 이끌고 갈 것인지 살펴보기 위해 마련한 것이다.

조사 결과 대구·경북 단체장 및 지방의원 대다수는 지역 현실이 심각한 위기상황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여야 정치권과 자치단체의 분발을 촉구했다. 주요 과제로는 '지역경제 회복'을 필두로 내세웠고, 차세대 산업으로 전자·정보통신산업의 육성을 주창했다.

또 지방선거에 대해서는 정당 공천 받기의 어려움과 선거법규 준수가 어려웠다고 술회했고,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에 대한 정당 공천제 폐지를 주장했다.

대선에서는 한나라당의 집권 가능성을 높게 봤으며, 한나라당 대선 후보 가운데 박근혜 전 대표에 대한 지지가 압도적이었다.

조사개요는 다음과 같다.

▷조사기관: (주)리서치코리아

▷조사기간: 6월 12~30일

▷조사대상: 대구·경북 5·31 지방선거 당선자 총 517명에 대한 전수 조사

▷조사방법: 일대 일 또는 전화 면접조사. 전자우편 또는 팩시밀리를 활용한 조사 병행

▷응답률: 87.2%(대구·경북 광역단체장 2명 중 2명 100%, 대구·경북 기초단체장 31명 중 30명 96.7%, 대구·경북 광역의원 84명 중 78명 92.9%, 대구·경북 기초의원 400명 중 341명 85.3%)

◆지방선거, 어떠했나?

단체장 및 지방의원들은 이번 지방선거를 치르면서 '선거비용'이나 '정책·공약 마련'보다는 '정당 공천 받기'와 '까다로운 선거법규 준수 및 선거운동'이 어렵고 힘들었다고 밝혔다. 대구지역 단체장 및 지방의원들은 '선거법규 준수와 선거운동'이 더 힘들었던 반면, 경북지역에선 '공천 받기'가 가장 힘들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선거가 정책·공약 위주의 선거라기보다는 특정 정당의 공천이 중심이 된 선거란 점을 방증하고 있는 셈이다.

◆정당공천제, 어떻게 보나?

정당공천제와 관련해 광역단체장 및 광역의원에 대한 정당공천은 '필요하다'는 의견이 우세한 반면, 기초단체장 및 기초의원에 대한 정당공천은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여야 정치권이 기초단체장 및 기초의원에 대한 정당공천 배제를 위한 법 개정 움직임과 관련해 주목되는 대목이다.

특히 광역단체장에 대해서는 정당공천 유지 필요성이, 기초의원에 대해서는 정당공천 폐지 필요성이 절대적인 입장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선 전망은?

단체장 및 지방의원들 대다수가 한나라당 공천을 받은 인물인 만큼 '한나라당의 집권 가능성'을 아주 높게 점쳤다. 응답자의 80%가량이 한나라당 집권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봤고, 가능성이 낮다고 본 이는 4%에 불과했다.

한나라당 소속 단체장 및 지방의원들에 한해 질문한 결과 한나라당이 집권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보수정당 및 TK정당 이미지 탈피'보다 '대선후보 경선 뒤 분열 방지' '정책정당으로의 변모' 등이 더 많이 꼽혔다.

◆대선 후보 지지도는?

한나라당 소속 단체장 및 지방의원들에 한해, 한나라당 대선후보에 대한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에 대한 지지율이 64.2%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이명박 전 서울시장에 대한 지지율은 25.8%였다.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에 대한 지지율은 1.8%에 그쳤다.

또 대선 후보군으로 분류되는 고건 전 국무총리,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 박근혜 전 대표, 손학규 전 도지사, 이명박 전 시장,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 등을 놓고 당선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역시 박근혜 전 대표가 57.9%로 가장 높았고, 이명박 전 시장 29.9%, 고건 전 총리 3.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김병구기자 kb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