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들이 인터넷으로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은 자료 검색인 것으로 나타났다.
계명대 벤처창업보육사업단(단장 김영문)이 지난 5월부터 두 달간 대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활용도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자료 검색(27.7%), 채팅·커뮤니티 활동(22.4%), 이메일(17.8%), 예약 및 쇼핑(12%), 게임(9.3%), TV·영화감상(6.6%), 온라인 학습(3.1%)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또 조사 대상 100%가 유료 콘텐츠를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는데 가장 많이 이용하는 유료 콘텐츠 및 서비스로는 아바타 및 아이템(32.4%)이 가장 많았고 모바일 콘텐츠(벨소리, 컬러링)(26.4%), 리포트 구입(자료 결제)(16.9%), 영화·드라마(8.4%), 온라인게임(5.2%) 순이었다.
특히 전체 90.5%가 인터넷의 장시간 이용으로 인한 문제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는데 생활리듬의 불균형(47.2%)이 가장 많이 지적됐고 건강 문제(18%), 게임중독(8.8%), 인간관계 소홀(6.5%), 음란물 홍수 경험(4.5%), 금전적 문제(3.3%) 등으로 나타났다.
또 인터넷을 이용하지 않을 때 불안감이나 초조함을 느껴본 적이 있다는 응답이 51.5%로 높게 나타났고 개인정보유출에 대한 불안감(26.5%)도 큰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인터넷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장소로는 집이 80.8%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인터넷 사용 시간대는 79.4%가 저녁이라고 응답했다. 또 하루 평균 인터넷 이용 시간으로는 1, 2시간이 46.6%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2, 3시간(26.2%), 1시간 미만(14%), 3시간 이상(13.2%)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호준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