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아폴로계획은 1970년대를 대표하는 우주탐사로 원래 20호까지 계획됐다. 그러나 국민의 관심이 시들해지고 베트남전 등의 원인으로 예산문제에 부딪히자 17호(1972년 12월 7일 발사) 발사로 끝이 났다.
그 다음 우주탐사 계획에 쓰인 '스카이랩(SkyLab)'은 아폴로계획에서 사용하다 남은 새턴 V형 로켓 한 대의 3단을 3명의 승무원 거주시설과 실험시설의 2층 구조로 개조한 우주정거장이었다.
1973년 5월 14일 먼저 무인으로 발사된 뒤 11일 후 유인우주선이 승무원들을 실어날랐다. 길이 17.5m, 지름 6.7m, 총 무게 74.7t의 다소 버거운 크기의 스카이랩은 임무 수행 중 대기마찰로 인해 궤도가 점점 내려갔다.
항공우주국(NASA)은 우주왕복선을 보내 스카이랩을 본궤도로 끌어올리려 했으나 왕복선 발사가 늦어져 실행하지 못했다. 1979년 5월 스카이랩이 고도 약 300km까지 내려오자 추락시키려는 결정이 내려졌다. 그리고 1979년 7월 11일 스카이랩은 인도양과 호주에 걸쳐 잔해를 남기며 떨어졌다.
이 과정에서 스카이랩 파편에 대비한 헬멧이 개발돼 엄청나게 팔려나가는 웃지 못할 일도 있었다. ▲1876년 독립운동가 백범 김구 출생 ▲2000년 금융노조 사상 초유 은행 총파업.
조문호기자 news119@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