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시가 2004년 7월 도시계획상 지구단위계획지구를 지정하면서 4층 이상 건물 신축에 필요한 용지를 턱없이 낮게 지정해 도시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시의 지구단위계획안에 따르면 종전의 준주거지역 792만309㎡를 1종 614만389㎡ 77.53%(4층 이하), 2종 165만710㎡ 20.84%(15층 이하), 3종 12만9천210㎡ 1.63%(15층 이상) 등으로 분류됐다.
하지만 영주시에서 15층 내외의 건물을 신축할 수 있는 2, 3종 준주거지역은 기존 아파트지구나 구획정리지구만 대상으로 해 다른 시(50~90%)에 비해 크게 낮은 24.10% 수준에 머물고 있다.
경북 도시별 2, 3종 준주거지역은 포항 87.06%, 경주 73.65%, 김천 53.23%, 안동 90%, 구미 60.77%, 영천 74.24%, 경산 67.95%, 상주 28.81%, 문경 8.48% 등이다.
이에 따라 최근 고층건물 신축을 추진하던 L(50·휴천동) 씨 등 지주들은 "신규 임대아파트나 고층건물을 지으려 해도 도시계획상 용도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장호철 시 도시계획담당은 "2020년 인구 15만 명에 대비, 구획정리지구에 1천700가구의 아파트 신축부지를 지정해 놓고 있고, 5년마다 돌아오는 도시계획재정비 때 필요하다면 지구단위계획안을 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영주·마경대기자 kdma@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