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2006년도 정기(7월)분 재산세를 13일 부과 고지했다. 올해 부과한 재산세(주택·건물분)는 74만여 건 1천101억원(재산세 479, 도시계획세 320, 공동시설세 206, 지방교육세 96억 원)으로 지난 해 부과한 947억 원보다 154억 원(16.2%) 늘어났다.
구·군별 재산세 부과액은 달서구가 283억 원으로 가장 많으며, 남구가 56억 원으로 가장 적다. 작년 대비 재산세가 가장 많이 상승한 지역은 북구로 전년도 156억 원보다 39억 원 많은 195억 원(25.0%↑)인 반면, 가장 적게 상승한 지역은 서구로 전년도 77억 원 보다 4억 원 증가한 81억 원(5.6%↑)이다.
재산세 인상의 주요 원인은 주택은 공동주택 가격이 현실화되면서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전년도 대비 18.1% 상승했고, 건물은 신축가액 기준액 인상(㎡당 46만 원→47만 원)과 과세표준 적용률이 인상(50%→55%)됐기 때문이다.
경북도는 2006년도 정기분 재산세(건물분, 주택분의 2분의 1) 459억 원을 각 시·군별로 일제히 부과, 고지했다. 이 금액은 지난해 대비 6.7% 증가한 것이다.
이번 부과에서는 건축물에 대한 과표적용률이 50%에서 55%, 신축건물기준가액 2.2%, 토지공시지가 13.29% 상승 등의 이유로 건물분 재산세가 전년대비 13.9% 증가한 데 반해 주택분의 경우 재산세부담 상한선 하향조정에 따라 전년 대비 0.7%하락했다.
시·군별로는 구미시가 91억 원을 부과,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포항 80억, 경주 59억, 경산 52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울릉군이 9500만 원으로 경북에서 가장 적었다.
전년 대비 상승률은 경산시 20.8%, 방폐장 유치지역인 경주시 18.7%, 혁신도시 유치지역인 김천시 13.9%로 다소 높았다.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과세되며, 7월 31일 까지 내야한다.
황재성기자 jsgold@msnet.co.kr 이대현기자 sk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