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부가 올해 1월 M1프로젝트(=모바일 1등국가 계획)의 핵심사업으로 모바일특구를 제시한 뒤 점차 '지역 내 소규모 테스트베드'로 축소되는 경향을 보이는 등 기대치와 달리 크게 쪼그라들고 있어 대구경북이 대응전략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남유진 구미시장은 13일 오후 대구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대구경북 모바일특구 유치추진위원회 출범식'에 서 "정통부가 모바일특구에 대한 개념을 카멜레온처럼 자꾸 바꿔가고 있다."면서 "정통부 정책 방향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우리 대구경북지역의 논리를 개발, 중앙정부를 설득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모바일특구를 반경 2, 3㎞ 정도의 테스트베드 수준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정통부 관계자의 언급과 관련, 김현덕 경북대 교수(실무추진기획단 위원)는 "모바일특구 유치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정통부가 삼성, LG 등 휴대전화 생산업체에 소규모 테스트베드를 설치하는 것으로 사업을 축소하려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이럴 경우 기술보안 등의 문제로 인해 대기업 테스트베드를 지역 중소기업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없어 산업적 시너지가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유럽형이동통신방식(GSM) 단말기 테스트 이외에 향후 유럽형 모바일방식(DVB-H), 중국형이동통신방식(TD-SCDMA) 등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 및 콘텐츠 테스트베드의 추가 구축 가능성마저 사실상 배제될 확률이 높다고 우려했다.
김관용 경북지사(공동유치추진위원장)는 "모바일특구는 해외에 가지 않고서도 모바일 단말기와 SW, 콘텐츠 등을 필드 테스트할 수 있어 기술표준과 기술융합을 주도할 수 있는 형태가 될 때 비로소 경제·사회적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김천-구미-칠곡-대구로 이어지는 모바일클러스터가 완성될 것"이라면서 "이를 위해 어렵고 힘들겠지만 '대구경북', '경북대구'가 함께 가야 한다는 의지와 믿음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실무추진기획단은 이날 간담회를 갖고 "정통부의 논리를 반박하고 설득할 수 있는 보다 객관적인 데이터와 설득력 있는 대구경북 모바일산업 클러스터 구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대응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석민기자 sukmin@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