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반요? 안 다녔는데요."
지난 달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서 개최된 전국학생과학발명품 경진대회에서 중등부 금상을 수상한 김성주(17·상인고 2년) 군. 김 군은 지극히 평범한 학생이었다. 각종 올림피아드나 경시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학생들의 예에 비춰보면 더욱 그랬다. 영재반도 다니지 않았고 흔한(?) 경시대회 전문준비 학원은 문턱에도 가 본 적이 없다. 또래들처럼 다가올 고3 수험생활이 걱정되는 보통 고교 2학년생이었다. 그런 김 군이 과학 발명품에 관심을 둔 계기가 무엇일까.
"지난 해였어요. 물리 수업 때 파동실험 장치를 이용해서 도플러 효과를 입증해 보는 내용이었는데, '노이즈' 때문에 파동을 관찰하기가 어렵더라구요. 선생님께 제 아이디어를 말씀드리고 발명품을 고안하게 됐죠."
김 군의 발명에는 끈덕진 관찰력과 호기심이 밑거름이 됐다. 발명품은 '도플러 효과'(움직이는 에너지원이 발산하는 파동의 전파속도는 일정하지만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파장이 변하는 현상. 예를 들면 기차가 다가오면서 기적소리가 점차 커졌다가 작아지는 현상)를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한 장치. 아크릴판 등 간단한 도구를 이용해 실험기를 만들었다. 그의 아이디어에 선생님의 조언이 합쳐진 실험도구는 성능 만점이었다.
김 군의 호기심과 창의력은 어떻게 길러진 것일까. 취미를 물었더니 큐빅 맞추기라고 했다. 특이하다. 큐빅이라면 고교생이 가지고 놀 물건이 아닌데 하는 생각이 드는데 한 마디로 반박해버린다. "큐빅은 숫자판을 계속 돌리면서도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모르기 때문에, 딱 맞아 떨어졌을 때의 쾌감이 더 크다."는 것이다.
물리와 천체 관측을 특히 좋아한다는 김 군. 천체 관련 책도 많이 읽었고 중학교 때는 친구들과 인터넷에서 배운 마술에 푹 빠진 적도 있다. 요즘은 온라인 게임 '스페셜 포스' 에 한창 재미를 붙였다.
이런 김 군의 장래희망은 뜻밖이었다. "대학에서 심리 상담을 전공하고 싶습니다. 타인의 숨겨진 내면을 관찰하고 치유해 주는 모습이 정말 매력적이잖아요."
최병고기자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