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댐과 소양강댐이 없었더라면…." 15일과 16일 중부지역에 내린 굵은 빗줄기가 잦아들자 건설교통부 재해대책본부와 한강홍수통제소 관계자들이 가슴을 쓸어내리며 던진 말이다.
17일 건교부에 따르면 소양강댐 유역과 충주댐 유역의 강우량은 532㎜, 484㎜를 기록했음에도 불구, 충주댐과 소양강댐이 방류량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서울과 여주, 양평 등 하류지역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실제 남한강 유일의 다목적댐인 충주댐(저수용량 27억 5천만t)의 경우 16일 오후 6시 계획홍수위(145m)를 불과 90㎝ 남겨둔 상태까지 방류량은 초당 7천t 선을 유지했다. 유역면적이 6천648㎢에 달해 집중호우때 유입량이 최대 2만 2천650t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댐으로 흘러들어오는 물의 3분의 2를 가둬둔 셈이다.
소양강댐의 역할도 컸다.
저수용량은 29억t으로 충주댐보다 많지만 유역면적이 2천703㎢로 작은 소양강댐은 호우기간 최대 초당 1만 1천247t씩 흘러들어오는 물을 발전방류량(초당 200~210t) 정도만 내보낸 채 물줄기를 막았다.
소양강댐은 계획홍수위(198m)보다 12m 낮은 186m까지 물이 채워진 상태였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