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본사가 포항 건설노조원들에게 점령당한지 18일로 6일째를 맞았지만 경찰 등 관계기관의 초기 대응실패 등 대응 능력 부재로 사태가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현재 포스코의 피해는 하루 100억 원씩 늘어나고 있으며 대외 신인도 하락과 함께 사태가 해결돼도 외국인 주주들의 손해배상 소송 제기 등 심각한 후유증을 겪을 전망이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경찰이 불법 점거 사태에 끌려가고 있으며 진압과정에서 불상사가 생길 경우에 대한 책임을 면하기 위해 적극적인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농성 현장 경찰을 지휘하고 있는 이성억 포항남부경찰서장은 17일 "포스코 직원의 18일 출근에 맞춰 진압으로 사태를 해결해 달라는 요청도 있으나 현재로선 그럴 생각이 전혀 없다."말했다. 이 서장은 "설득 방송 등으로 많은 노조원들이 이탈하고 있는 만큼 강제 진압보다는 대화를 통한 해결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배봉길 경북경찰청 경비교통과장은 "노조 내부의 동요가 많아 자진 해산을 유도하고 있으며 최후통첩이라고 할 수 있는 정부 담화문이 18일 발표돼 이탈자는 더 늘어날 것"이라며 "집행부가 계속 저항하면 진압에 나서야 하지만 진압 시기를 잘 조율해야 더 큰 불상사를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포스코는 이번 사태로 하루 100억 원대의 피해를 보고 있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사태 해결이 늦어질 경우 포항과 광양 등 두 곳 제철소의 가동 차질은 물론, 설비 및 자재 등의 구매차질로 인한 외부 거래업체들의 납품불능 등 심각한 연쇄파장도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사태가 원만하게 끝나더라도 외국인 주주가 70%가 넘는 포스코의 소유 구조로 볼 때 많게는 수백억 원대에 이르는 소송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 이에 따른 후폭풍도 우려되고 있다.
이와 함께 포스코도 내부적으로 이번 사태를 주도, 체포영장이 발부된 건설노조 집행부 간부 18명에 대해서는 어떤 식으로든지 책임을 묻는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의 한 관계자는 "현재 포스코의 대주주는 사실상 외국인인데 본사 점거 후 하루 이틀만에 해결이 됐다면 이들을 설득해 이해를 구할 수 있지만 지금은 시일이 너무 흘러 때를 놓쳤다."며 "건설노조를 상대로 소송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농성중인 노조원들은 17일 하룻동안 350여명이 이탈하는 등 지금까지 모두 450여명이 이탈해 점거 중인 노조원은 1천800명(노조 주장, 경찰 추산은 1천300여명)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또 포스코 측은 단수, 단전 및 에어콘 가동 중단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포항 최윤채·박정출·이상원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