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민족의 아픔을 협박 수단으로 삼다니

북한이 離散家族(이산가족) 상봉을 중단하겠다고 통보해 왔다. 우리의 쌀'비료 지원 유보를 이유로 삼았다. 이산가족의 아픔은 남북 한쪽의 문제가 아니다. 分斷體制(분단 체제)로 가족과 생이별을 해야 했던 민족 공통의 고통이다. 가족과의 만남은 국가 권력이 제멋대로 제약할 수 없는 개인의 권리다. 그런데도 전쟁을 일으켜 수많은 이산가족을 발생케 한 북은 상봉을 저들의 施惠(시혜)인 양 협박 수단으로 들고 나왔다.

북은 이번에도 우리에게 책임을 뒤집어씌우고 있다. 쌀 지원 유보가 민족 앞에 저지른 反人道主義的(반인도주의적)인 처사라고 생떼를 쓴다. 대화 상대치고는 참으로 피곤한 상대다. 우리는 굶주림에 시달리는 북한 주민을 외면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민족의 장래를 어둡게 만드는 작금의 한반도 주변 긴장 상태를 마감하라고 요구한 것이다.

우리 정부는 북의 태도에 난감해하는 모습이다. 혈육과의 상봉을 손꼽아 기다리는 이산가족의 고통을 생각할 때 당연하다. 그러나 이산가족 상봉은 남북 관계의 시작 단계일 뿐이다. 미사일 발사로 한반도에 긴장을 야기한 것도 모자라 그들의 고통을 협박 수단으로 삼는 眼下無人的(안하무인적)인 태도가 변하지 않는 한 대화와 화해는 허사다. 또다시 판이 깨질세라 눈치를 보다가는 북의 변화를 기대할 수 없다.

북한은 결코 孤立(고립)의 길로 들어설 수 없다. 국제사회의 외톨이로서는 생존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북을 대화의 장으로 이끌어내기 위해선 우리 역시 국제사회의 외톨이가 되지 않아야 한다. 우리의 信賴度(신뢰도)에 구멍이 뚫린다면 북은 우리를 외면할 게 뻔하다. 북에 대한 우리의 입장은 단호해야 한다. 동맹국을 비롯 우리의 국제적 신뢰가 높아져야 민족공조도 제대로 이뤄질 수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