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신천에 사는 어류의 종류. 신천의 수질이 좋아짐에 따라 물고기들의 종류도 늘고 있는 추세다. 현재 신천에는 가물치, 메기, 참몰개, 갈겨니 등 모두 8종의 어류가 살고 있다.
▶10=신천에 살고 있는 천연기념물 제330호 수달의 개체수(추정치).
▶12=가창교에서 금호강과 만나는 지점인 침산교까지 이어지는 신천의 총 길이(㎞).
▶14=신천을 가로지르는 다리의 총 개수. 신천의 시작지점인 가창교에서 금호강과 만나는 지점인 침산교까지 신천에는 모두 14개의 다리가 놓여 있다.
▶18=신천에 사는 조류의 종류. 신천에는 고방오리, 왜가리, 황조롱이, 백할미새, 붉은갈매기 등 의외로 많은 새들이 서식하고 있다.
▶139=현재의 신천으로 태어나기 위해 1986~1994년 '신천종합개발사업'에 투입된 총 사업비(억 원).
▶641=신천시민공원 내 설치된 체육 및 편의시설 수. 신천둔치에는 농구장, 테니스장, 게이트볼장 등 체육시설 38곳과 603점의 각종 운동시설을 갖추고 있다.
▶1776=신천이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진 연도. 조선 정조 원년인 이해 홍수를 막기 위한 방침으로 지금의 모습으로 제방을 쌓고 물길을 돌렸다.
▶35,000=주말이나 공휴일에 신천시민공원을 찾는 하루 최대 이용객수. 평일에도 1만 명 정도가 꾸준히 신천을 찾고 있다.
▶97,690=신천둔치에 심어진 조경수의 총 개체수. 신천에는 소나무를 비롯해 느티나무, 혜화나무, 팽나무, 벚나무 등 갖가지 종류의 나무들이 자라고 있다.
▶340,000=신천의 총 담수량(t). 신천에 물이 흐르게 하기 위해 신천하수처리장에서 하루 10만 t의 물을 상류로 역류시키고 수위 유지보 14개소를 설치, 인위적으로 이 같은 담수량을 유지하고 있다.
▶418,000=신천시민공원의 총 면적(㎡). 대로와 동로편 둔치를 모두 합한 수치로 대구 최대 공원인 두류공원(165만 3965㎡)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면적이다.
전창훈기자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