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6 재보궐선거를 하루 앞둔 25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여야 각 정당들이 투표율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선관위는 공식적으로 이번 재·보선 투표율이 30%대 초중반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지만 여러 악조건을 감안할 때 자칫 20%대 또는 그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까지 배제할 수 없다는 분위기다.
우선 대규모 선거 후 첫 재·보선의 투표율이 여지없이 낮았던 과거 전례가 이번에도 재현될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2000년 16대 총선 후 6·8 재보선 투표율은 21.0%에 불과했고, 2004년 17대 총선 후 6·5 재보선 투표율 역시 28.5%로 극히 낮았다.
시기적으로도 본격적인 휴가철과 맞물린데다 재·보선 지역 4곳 모두 도시여서 적극적 투표의사층이 상대적으로 많은 농촌지역의 선거보다 투표율이 떨어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정당들도 투표율에 따른 후보 간 유불리를 따지면서 득실 계산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투표율이 높으면 젊은층의 지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열린우리당에 유리하고, 투표율이 낮을 경우 노·장년층 지지도가 높은 한나라당에 유리하다는 게 통상적 관측이다.
그러나 재·보선의 경우 투표율 영향이 지역구 사정마다 달라서 단순한 공식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한나라당 최수영(崔秀永), 민주당 조순형( 趙舜衡) 후보 간 치열한 2파전이 벌어지고 있는 서울 성북을이 대표적이다.
한나라당 관계자는 "투표율이 높으면 당 지지도, 낮으면 조직싸움이 중요하다. 현재 당 지지율이 높고 조직싸움에서도 밀리지 않는 상태여서 투표율이 당락에 큰 영향을 미치진 않을 것 같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그러나 민주당 관계자는 "최근 여론조사 결과 40대 이상 노·장년층에서 조 후보 지지율이 한나라당 최 후보를 역전했다."며 투표율이 높아도 자당 후보가 유리할 것이라는 주장을 폈다. 반면 우리당 측은 "투표율이 낮을 경우 조직싸움이 될 가능성이 크다. 우리당은 당원만 6천 명을 확보하고 있어 승산이 있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