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역 건설사 '고사 위기'…시 차원 자구책 필요

지역 건설사들이 '고사 위기'에 몰리고 있다.

대구시가 지난달 12일 지역내 273개 지역의 재건축·재개발 등을 위한 기본 계획(도시환경 및 주거정비법)을 고시한 이후 8월부터 재개발 단지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시공사 수주전이 펼쳐지고 있지만 자금과 시공 능력 등에서 밀리는 지역 업체들이 완전히 배제되고 있는 탓이다.

특히 내년 이후 분양에 들어가는 재개발 물량만 5만여 가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면서 향후 4~5년간 아파트 분양 시장이 '재개발 위주'로 재편될 것으로 보여 시 차원의 지원책과 공동 시공 등 업체들의 자구책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건설업체에 따르면 현행 규정으로는 추진위원회 설립만으로 가능한 재개발 사업 시공사 선정이 내달 25일부터는 조합 설립 이후에만 가능토록 관련법 규정이 바뀜에 따라 지역에서만 30여 개가 넘는 재개발 단지의 추진위 신청이 접수된 상태며 이달 중으로 25여 곳 정도가 총회를 거쳐 시공사를 선정할 계획이다.

그러나 대다수 추진위와 재개발 사업 컨설팅 업체인 정비사업자들이 시공사 입찰 자격 조건을 '도급 순위 국내 10위'로 제한하고 있어 지역 업체들은 한 곳의 단지도 수주를 못할 상황에 처해 있다.

실제 지역내 추진위 접수 단지는 남구 19개 지역을 비롯 중구 13곳, 달서구 6곳, 수성구 5곳 등 30여곳에 이르지만 삼성물산과 GS건설, 대림, 코오롱, 두산 등만이 4~5개 재개발 단지 수주를 목표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어 재개발 단지 물량 전체가 서울 1군 업체들의 독식으로 끝날 우려가 높은 실정이다.

지역 업체 관계자들은 "수도권과 부산지역은 1~2년전부터 기본계획 고시로 재개발 수주전이 시작된 탓에 업체마다 경험이 풍부하지만 지역 업체들은 노하우 부족에 자금력마저 딸리는 상황"이라며 "현재 분위기가 이어진다면 2008년 이후부터는 지역 업체들의 수주 물량이 거의 사라질 위기"라고 밝히고 있다.

한편 대구시는 지난달부터 지역 건설업체 지원을 위해 타 시·도처럼 재개발 사업의 경우 지역 업체가 공동 사업자로 선정될 경우 용적률 5%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지만 업체들의 홍보 부족과 조합들의 외면으로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재협기자 ljh2000@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