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과 가족 해체 등으로 여성 가구주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남성 가구주에 비해 소득이 훨씬 떨어지는 등 여성 빈곤문제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간하는 계간지 보건사회연구 최신호에 따르면 초등학교졸업 학력을 가진 여성 가구주의 경우 소득이 최저생계비에도 못 미치는 빈곤층이 2 2.7%나 된다. 이는 같은 학력의 남성 가구주가 12.1%인 데 비해 2배 가까이 높은 비율이다.
이 같은 빈곤층은 중졸 여성 가구주의 20.7%, 고졸 여성 가구주의 13%, 대졸 이상 여성 가구주의 6.8%가 해당됐다. 같은 학력 남성 가구주는 각각 6.8%, 5.9%, 1.7 %의 분포를 보였다.
여성 가구주가 임시.일용 근로자인 경우 최저생계비 이하 빈곤층이 28.1%로, 3 분의 1 가까이가 생활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 남성 가구주의 빈곤층 비율은 13.2%에 그쳤다.
여성 가구주의 직업은 임시.일용 근로자가 35.7%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자영업자(18.7%), 상용 근로자(14.6%), 고용주(3.9%) 등의 순이었다. 경제활동에 참여하지않는 비율도 27%나 됐다.
여성 가구주의 3분의 2 정도가 아예 직업이 없거나 직업이 있더라도 불안정성이높은 셈이다.
더욱이 여성 가구주의 경우 직업을 갖고 있더라도 같은 직종의 남성에 비해 소득이 64.8%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능직이 남성 가구주 소득의 60%에 그친 것을 비롯, 전문직(64%)과 농.어민(65.
1%), 사무직(67.3%) 등의 소득도 남성과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전체 가구에서 여성 가구주가 차지하는 비율은 1980년 14.7%에서 1990년 15.7%, 2000년 18.5%, 2004년 19.3%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보건사회연구원은 "빈곤여성의 위기 방지를 위해서는 기초생활보장 체계를 점검, 확충하고 빈곤여성의 다양한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맞춤형 빈곤여성 종합대책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