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준 교육부총리 거취를 둘러싸고 여·야 공방이 계속되는 가운데 열린우리당의 입장이 '사퇴 불가피' 쪽으로 흘러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나라당은 해임건의안 제출과 검찰 수사까지 거론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열린우리당=열린우리당은 31일 오전 비상대책위원회를 열고 김 부총리에 대해 사실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견지했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여론이 더욱 바빠지고 있어 내심 우려를 나타냈다.
김근태 의장은 "언론을 통해 김 부총리의 해명을 들었다. 이를 통해 일부 언론이 제기한 많은 의혹이 해명됐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하지만 국민들은 교육부 수장에 대해 높은 도덕성을 요구하는 게 오늘의 분명한 현실"이라고 말했다.
또 "지난 관행은 그럴지 모르지만 지금은 새로운 관행을 필요로 하고 있고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김 부총리의) 발전적이고 전향적인 역할을 기대한다."고 말해 듣기에 따라선 사퇴를 염두에 둔 듯한 발언을 했다.
김한길 원내대표는 "김 부총리 문제가 이토록 심각한 지경까지 온 것에 대해 깊이 우려한다. 한나라당이 국회 교육위원회 소집을 요구하는데 우리당이 더욱 적극적으로 교육위 소집을 요구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교육위 차원에서 엄정한 진실 규명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나라당=한나라당은 31일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김 부총리의 사퇴와 검찰 수사까지 요구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김형오 원내대표는 "김 부총리는 여러 가지 처신의 부적절성과 부도덕성이 입증됐다. 더 이상 시간벌기는 적절치 못하고 비교육적이다."며 사퇴를 요구했다. 또 "계속 시간을 끌면 야당과 공조해서 처리하겠다."고 밝혀 해임 건의안 제출 가능성도 시사했다.
이재오 최고위원은 김 부총리가 전날 청문회 개최를 요구한 것과 관련해 "청문회 등을 요구하면 노 정권이 더욱 어려워지고 국민들의 불안이 가중된다."며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했다.
정형근 최고위원도 "김 부총리와 관련된 보도의 행태를 보면 정치적인 공방단계가 아닌 검찰 수사단계에 와 있다."며 "BK21 논문 재탕 보고는 사기죄에, 직위를 이용해 구청에 용역을 받은 것은 업무상배임죄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권영세 최고위원은 "교육부총리가 표절을 한 것에 책임지고 스스로 물러나야 한다. 지도층의 마지막 남은 도리"라고 강조했다.
나경원 대변인은 회의가 끝난 뒤 브리핑을 통해 "김 부총리 의혹은 논문 비리의 백화점을 보는 듯하다. 청문회 요구는 손톱으로 하늘을 가리는 일이다."며 "대통령은 더 이상 국정 혼란을 방치해서는 안되고 부총리는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