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부총리 거취 두고 정치권 반응 엇갈려

김병준 교육부총리 거취를 둘러싸고 여·야 공방이 계속되는 가운데 열린우리당의 입장이 '사퇴 불가피' 쪽으로 흘러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나라당은 해임건의안 제출과 검찰 수사까지 거론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열린우리당=열린우리당은 31일 오전 비상대책위원회를 열고 김 부총리에 대해 사실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견지했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여론이 더욱 바빠지고 있어 내심 우려를 나타냈다.

김근태 의장은 "언론을 통해 김 부총리의 해명을 들었다. 이를 통해 일부 언론이 제기한 많은 의혹이 해명됐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하지만 국민들은 교육부 수장에 대해 높은 도덕성을 요구하는 게 오늘의 분명한 현실"이라고 말했다.

또 "지난 관행은 그럴지 모르지만 지금은 새로운 관행을 필요로 하고 있고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김 부총리의) 발전적이고 전향적인 역할을 기대한다."고 말해 듣기에 따라선 사퇴를 염두에 둔 듯한 발언을 했다.

김한길 원내대표는 "김 부총리 문제가 이토록 심각한 지경까지 온 것에 대해 깊이 우려한다. 한나라당이 국회 교육위원회 소집을 요구하는데 우리당이 더욱 적극적으로 교육위 소집을 요구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교육위 차원에서 엄정한 진실 규명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나라당=한나라당은 31일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김 부총리의 사퇴와 검찰 수사까지 요구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김형오 원내대표는 "김 부총리는 여러 가지 처신의 부적절성과 부도덕성이 입증됐다. 더 이상 시간벌기는 적절치 못하고 비교육적이다."며 사퇴를 요구했다. 또 "계속 시간을 끌면 야당과 공조해서 처리하겠다."고 밝혀 해임 건의안 제출 가능성도 시사했다.

이재오 최고위원은 김 부총리가 전날 청문회 개최를 요구한 것과 관련해 "청문회 등을 요구하면 노 정권이 더욱 어려워지고 국민들의 불안이 가중된다."며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했다.

정형근 최고위원도 "김 부총리와 관련된 보도의 행태를 보면 정치적인 공방단계가 아닌 검찰 수사단계에 와 있다."며 "BK21 논문 재탕 보고는 사기죄에, 직위를 이용해 구청에 용역을 받은 것은 업무상배임죄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권영세 최고위원은 "교육부총리가 표절을 한 것에 책임지고 스스로 물러나야 한다. 지도층의 마지막 남은 도리"라고 강조했다.

나경원 대변인은 회의가 끝난 뒤 브리핑을 통해 "김 부총리 의혹은 논문 비리의 백화점을 보는 듯하다. 청문회 요구는 손톱으로 하늘을 가리는 일이다."며 "대통령은 더 이상 국정 혼란을 방치해서는 안되고 부총리는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