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은 양대 노총의 개최지 변경 요구로 지난해 10월에서 이달 말로 연기된 국제노동기구(ILO) 아시아'태평양 총회 기간 중 어떤 집회나 시위도 없을 것이라는 約束(약속)을 지켜야 한다. 대회 연기로 이미 한국 정부는 노동 문제와 관련, 외교적 타격을 입었다. 노동계 역시 노조 利己主義(이기주의)라는 비판을 받았다. 총회 기간 중 집회 계획은 국제적 약속 위반이자 노사정 모두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뿐이다.
국제노동기구의 의사결정은 정부와 사용자, 노동자 대표들이 공동으로 한다. 당연히 노동자는 총회의 중요한 한 軸(축)이다. 게다가 ILO 총회는 단순한 국제행사가 아니다. 지난 4년을 평가하고 향후 4년의 사업 방향을 정하는 국제기구의 의사결정 회의로 중요한 외교행사다. 우리 노동계가 일방적인 행동으로 방해하고 흔들 회의가 아니며 行步(행보)를 따로 잡아서도 곤란하다. 국제사회와의 약속을 지켜야 한다며 민노총에 집회 계획의 철회를 요청하는 한국노총의 뜻도 국제적 신뢰를 잃지 말자는 것과 다르지 않다. 국제노동기구와 국제자유노련 등 노동 관련 국제기구의 권유대로 집회보다는 위크숍 등으로 의견을 제시하는게 合理的(합리적)이다. 예측 불가능한 시위로 노동운동의 不文律(불문율)을 깨뜨리지 말자는 국제 노동계의 충고는 시위로 차질을 빚어선 안 된다는 강한 요구다.
민노총의 시위 계획은 국민적 신뢰마저 위태롭게 한다. 민노총의 주장대로 불합리한 우리 노동 현실의 개선도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 우리 노동계의 최대 危機(위기)는 대국민 신뢰도 상실에 있다. 과다한 시위와 시위 현장의 과격함으로 국민의 바람과 멀어지고 있다. 민노총의 계획은 자칫 국민과의 乖離(괴리)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점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