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실시된 14개 시·도(울산.제주 제외) 제5대 교육위원선거에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당선자를 14명밖에 내지 못하는 참패를 당했다.
중앙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전교조는 전국적으로 전체 53개 선거구(132명 선출)에서 41명의 단일후보를 공천했지만 14명밖에 당선시키지 못했다.
2002년 실시된 제4대 교육위원선거에서는 전교조가 전국적으로 35명을 추천, 24명을 당선시켰었다.
특히 서울지역의 경우 전교조는 전체 7개 선거구에 모두 단일 후보를 냈지만 전교조 위원장 출신인 이부영(제4선거구)후보와 제4대 교육위원인 박명기(제7선거구)후보 등 2명만이 당선됐으며 색깔론이 촉발됐던 부산지역에서는 당선자를 한명도 내지 못했다.
제4대 당시에는 전교조 후보가 서울 전체 7개 선거구에서 모두 7명이 당선, 시교육위원회 의장까지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었다.
이처럼 전교조가 저조한 성적을 낸 것은 전교조 부산지부 통일위원회가 지난해 10월 북한의 역사책을 발췌해 제작한 통일학교 행사 교재를 놓고 색깔논쟁이 야기되면서 선거막판 이른바 '북풍(北風)'이 몰아친 데다 사학재단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 후보들이 종전 선거과 달리 단독후보를 내고 적극 선거운동을 벌였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교원 성과급 차등지급 반대 등 전교조의 강경일변도 투쟁방식에 식상한 비난여론도 참패의 한 원인으로 분석됐다.
'교육계의 국회의원'으로 불리는 교육위원은 임기가 4년으로 시·도 교육청의 교육정책 수립, 예산 편성 및 집행 등을 감시·견제하며 연간 5천만원 내외의 의정비를 받는다.
한편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번 교육위원선거 전국 투표율은 86.8%였다. 시·도별로는 대전이 95.2%로 가장 높았고 경북 93.7%, 전북 93.1%, 충북 92.8%, 전남 92.7%, 광주 91.3%, 충남 91.1%, 경남 89.3%, 인천 88.3%, 부산 87.4% 등이었다. 서울 투표율은 81.9%로 제4대 때의 87.8%보다 낮았다.
중앙선관위는 31일 현재 위법선거운동사례 94건을 적발, 이 중 33건은 고발, 12건은 수사의뢰, 49건은 경고조치했다. 이는 제4대 교육위원선거 당시의 51건보다 84% 증가한 것으로 선거운동이 그만큼 과열.혼탁했음을 보여준다.
경찰청은 대전·경북 교육감 선거에서 7건의 신고와 첩보가 들어와 4명이 내사 대상에 올랐고 시·도교육위원 선거에서 7건의 위반 의혹 사례가 파악돼 9명을 내사 중이라고 밝혔다.
◇ 서울지역 선거구별 당선자 명단.
▲ 제1선거구(종로.중구.용산.강북.성북) = 정채동(전 중부교육장), 김승종(전 서울사립중고 교장회 회장) ▲ 제2선거구(은평.서대문.마포) = 구본순(전 서부교육장), 나영수(전 서울시 교육위원) ▲ 제3선거구(성동.광진.동대문) = 이인종(전 서울교대 부설초등학교 교장), 한학수(전 서울가동초등학교 교장) ▲ 제4선거구(도봉.노원.중랑) = 박헌화(전 강남교육장), 이부영(전 전교조 위원장) ▲ 제5선거구(양천.강서.금천.구로) = 김영학(전 서초고 교장), 강호봉(전 목동고 교장) ▲ 제6선거구(동작.관악.영등포) = 이상진(전 한국국공립사립초중고 교장협의회 회장), 이순세(전 교육위원)▲ 제7선거구(서초.강남,송파.강동) = 임갑섭(전 강동교육장), 박명기(서울교대 교수), 윤웅섭(전 교육부 학교정책실장)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