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시민과 멀어지는 노조의 위기

노조에 危機(위기) 상황이 닥치고 있다. 각종 爭議(쟁의) 행동이 시민의 지지확보는 고사하고 怨聲(원성)을 사는 일이 다반사다. 사회적 약자에게 부여한 단체행동의 권리를 남용하고 있다는 비판과 함께 노조 거부감이 확산되고 있다. 어제 열린 포항시민 집회장은 불법 폭력시위와 장기 파업에 대한 성토장이 됐다. 주장이 합당하더라도 불법과 폭력적인 방법은 정당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시민들로부터 외면받게 된다는 지적도 쏟아졌다.

견디다 못한 시민들의 抵抗(저항)이었다. 지역 경제가 마비돼 생업에 타격을 받은 시민들이 노조 반대를 외치며 길거리로 나선 것은 필연의 결과다. 자식이 행여 부상이라도 당할까 전전긍긍하는 전'의경 부모들도 폭력 시위 현장에서 다치지 않게 해 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無法天地(무법천지)로 변하는 시위 현장에 불만을 털어놓는 시민들도 적잖다. 노조의 과격 시위가 시민들을 노조로부터 멀어지게 했다.

시민들의 목소리를 외면하는 노조의 자세는 한국 노조의 위기상황을 그대로 드러낸다. 민노총은 '관내 통장을 통해 주민들을 동원한 관제 데모'라고 했다. 그러나 그 함성은 시켜서 터진 게 아니다. 민노총의 주장이 옳고 정당하다면 자제를 요구하는 시민들의 주장도 정당하다. 시민들의 뜻을 무시한 투쟁으로 선명성을 내세우겠다면 錯覺(착각)이다.

을지연습의 폐지를 주장한 전국공무원노조도 시민들의 지지를 얻기 어렵다. 북한의 주장을 옮겨 놓은 듯한 공무원 노조의 聲明(성명)은 국민의 신뢰를 앗아간다. 아직 뿌리도 내리지 못한 처지에 튀려는 행동은 조직을 무너뜨릴 뿐이다. 전공노는 노조에 앞서 公務員(공무원) 신분을 망각해선 안 된다.

노조는 노동자의 權益(권익) 향상이 일차적 목적이나 노동자의 권익은 노동자만의 힘으로 쟁취되지 않는다. 기업과 시민 정부의 상호 협력이 뒷받침돼야 한다. 포항 건설노조원들의 예만 하더라도 과격 폭력시위는 부조리한 하도급 관행에 시달리는 건설 노조원들의 절박한 사정을 가리고 있다. 투쟁이 능사가 아니라 되레 장애물이 된 셈이다. 폭력을 버리고 시민들에게 가까이 다가설 때 노조의 주장에 사회가 귀를 열게 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