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이야기' 등 사행성 성인게임장이 전국 곳곳에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면서 도박에 손댄 서민들은 경제적 손실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게임장과 환전소 등은 그만큼 배를 불렸다. 이용자가 게임에서 승리해 받는 상품권을 환전할 때 떼이는 일정 수수료를 게임장, 환전소, 상품권 발행업체들만 나눠 가지기 때문이다.
◇'상품권 =도박칩' 업자들만 수혜자 = 게임 이용자의 주머니돈을 직접 챙기는 이는 게임장 업주이지만 수입은 이게 전부가 아니다.
게임에서 이길 경우 받게 되는 5천 원권 상품권은 액수 그대로 지불받는 게 아니라 10~20%를 수수료로 떼야만 현금화된다. 상품권 1장을 내면 이용자는 4천~4천500원만을 지갑에 넣을 수 있다는 얘기다.
서민들이 환전수수료로 부담하는 장당 500원~1천 원은 당장은 환전소 몫으로 들어가지만 이후 상품권이 발행자→환전소→게임장 업주 순으로 순환되면서 각종 명목으로 분배된다. 이용자로부터 상품권을 받은 환전소는 이를 상품권 제조업체에 돌려줄 때 인쇄비와 발행 비용으로 1장당 50~70원을 주고 새 상품권을 받는다. 환전소는 이들 상품권을 게임장에 공급하는데 이때 장당 30~40원의 수수료를 뗀다.
◇ 게임장 업주 한 달 수익만 억대 = 50대의 게임기를 가지고 24시간 운영하는 게임장이 있다고 가정하면 이 게임장에서는 통상 30대의 게임기가 사용되며 1시간당 한 게임기가 벌어들이는 돈은 1만 원 가량 된다. 이 경우 이 매장의 하루 매출은 게임기 30대와 1만 원, 24시간을 모두 곱한 720만 원이 된다. 한 달에 2억 1천60만 원을 벌어들인다고 볼 수 있다. 여기에 무료 음료수값과 인건비, 조명비 등을 제외해도 1억 3천만 원 안팎의 순이익이 남는다. 이 가게의 경우 월 환전수익은 2천250만 원(1만 5천 원×50대×30일)에 달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는 게임장 운영을 통한 수익의 20%에 육박하는 금액이다. 환전수익까지 합쳐 게임장 업주는 모두 1억 5천250만 원을 이익금으로 남기는 셈이 된다.
◇ 환전수수료만 연간 1조 8천억 …'무자료 거래' 소문 만연 = 게임산업개발원 등에서는 이런 식의 상품권 유통 과정에서 환전 수수료만 지난해 1조 8천억 원가량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상품권이 이처럼 카지노의 '칩'처럼 사용되면서 영화나 연극 티켓, 책 등을 구입하는 원래의 용도는 잃어버렸다. 게임개발원 조사결과 전체 발행 상품권의 98.5%가 환전용으로 사용되는 반면 1.5%만이 본연의 목적대로 사용된 것으로 파악됐다. 상품권의 변질은 게임의 인기 급상승과 불법 프로그래밍으로 인한 당첨금 '뻥튀기'와 맞물리면서 상품권 시장의 급성장이라는 결과를 낳았다.
◇ 로비 의혹 가능성 = 작년 7월 이후 1년간 발행된 상품권은 한 해 교육 예산과 맞먹는 30조 원에 이른다. 이 같은 액수는 성인 게임기의 '무자료 거래'가 만연돼 있다는 업계의 추측이 사실이라면 훨씬 더 커진다.
무자료 거래는 게임 제조사가 탈세를 위해 게임기를 문화관광부의 허가 없이 배급하는 것을 뜻한다. 결국 게임기의 절반이 무자료거래를 통해서 보급이 된 것이라면 30조 원으로 추정되던 상품권 시장은 60조 원에 이르는 거대 시장이었던 셈이 된다. 상품권 시장 규모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거대해지자 상품권 발행업체로 참여하려는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금품로비설'도 무성해졌다.
◇'상품권 대란' 현실화될까 = 바다이야기 파문으로 경품용 상품권이 다시 여론의 도마에 오르자 정부는 내년 4월부터 경품용 상품권을 폐지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시중에 이미 돌고 있는 상품권 규모를 감안하면 폐지 방침이 실행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상품권 업계는 현재 시중에 유통 중인 상품권이 1조 원에 육박할 것으로 추정한다. 하지만 이 상품권 제도가 폐지되기까지 남은 시간은 불과 8개월 정도여서 관련업계는 대량의 상품권을 보유하고 있는 게임업소와 상품권 발행업체의 줄도산이 예상된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한국컴퓨터게임산업중앙회 김민석 회장은 "상품권 폐지가 오히려 딱지상품권의 범람으로 이어지는 등 불법을 부추기는 역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금융감독원은 "시중에 유통되는 상품권의 물량은 업계의 주장보다 적은 4천억 원 규모로 파악하고 있다."며 "서울보증보험의 담보율 확보 비율이 유통 물량의 50%에 육박하고 발행회사들이 유보한 상환준비금도 비슷한 수준으로 높기 때문에 상품권 대란 가능성은 없다."고 일축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