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國遺事(삼국유사)' 첫 장에 우리나라 최초의 고대국가는 '하늘로부터 天符印(천부인) 세 개를 받아 국가를 열었다'는 말이 나온다. 玉璽(옥새)의 역사와 그 상징성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천부인'은 하늘의 뜻과 권위를 상징하며, 이를 받았다는 건 하늘의 결재를 받았다는 말이기도 하다. 조선조의 역대 王(왕)들이 썼던 도장인 옥새는 바로 이런 맥락의 권위를 상징했으므로 '옥새 확보'가 '왕의 관건'이었다.
◇태조 이성계는 이방원이 이복형제와 개국 공신을 죽이고 王位(왕위)에 오르자 분노를 참지 못해 옥새를 가지고 함흥으로 가 버렸다. 몇 차례 사신들을 죽이며 버티던 이성계는 한양으로 돌아오면서도 격분해 방원의 가슴을 향해 화살을 날렸다. 그러나 방원이 禍(화)를 면하고 목숨을 건지자 '天命(천명)'이라며 옥새를 넘겨줬다. 조선조의 정치사는 옥새 쟁탈사라 해도 과언이 아닌 건 그 정통성의 상징 때문이었다.
◇조선왕조 옥새 중 국새 13개가 모두 분실된 것으로 감사원 감사 결과 확인됐다. 감사원에 따르면, 일반 행정용 옥새 26개 가운데 21개도 사라졌다. 특히 1971년 문화재관리국이 당시 여러 宮(궁)에 흩어져 있던 국새 등 인장을 찍은 책 '고궁인존'을 발행할 때만 해도 조선 최초의 옥새인 '조선국왕지인'이 남아 있었지만, 그 이후 분실돼 버린 것 같다.
◇게다가 '선조계비 금보'는 인장 표면에 녹이 슬고, '선조비 옥보'는 거북 머리가 파손되는 등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어보 316개가 온전한 건 거의 없다니 어이가 없다. 한술 더 떠 국립중앙박물관도 관우를 기념하는 '북묘비'를 명나라 장수 진린의 기념비로 설명하는가 하면, 규장각도 엉터리 설명을 적은 경우가 있었다고 한다. 옥새들이 언제, 어떻게 없어져 버렸는지조차 모른다니 기가 찰 노릇이다.
◇韓日(한일) 병합 후 일본이 옥새 8점을 빼앗아 도쿄로 가져갔다 光復(광복) 이후 맥아더 원수를 통해 반환했으나 6'25 한국전쟁 와중에 다시 분실했다가 3점은 되찾은 바 있다. 예로부터 도장은 개개인의 인격과 신분, 권위를 상징하는 貴物(귀물)이다. 더구나 옥새에 대해선 더 말할 필요조차 없다. 그런데 모두 잃어버리거나 온전한 게 없다는 사실은 나라의 정체성이 흔들리고 있는 탓이라고 본다면 지나치기만 할까.
이태수 논설주간 tspoet@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