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심장마비도 '사전 경보' 울린다…전조증상 나타나

심장마비는 대부분 위험요인이 있는 사람에게 발생하며 쓰러지기 전에 최장 1시간이상 갖가지 전조증상이 나타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독일 베를린 대학 의과대학의 디르크 뮐러 박사는 미국심장학회(AHA) 학술지 ' 순환(Circulation)'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논문에서 급성심정지 환자 406명의 자료를분석한 결과 75%가 쓰러지기 전 최소한 5분에서 120분까지 여러 전조증상이 나타났으며 50%이상이 심장병 병력이 있었고 나머지는 당뇨병, 흡연, 만성폐질환 같은 위험요인이 있는 사람이 대다수였다고 밝혔다.

전조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사람은 25%에 불과했다고 뮐러 박사는 말했다.

전조증상을 유형별로 보면 협심증에 의한 흉통 120분(22%), 호흡곤란 30분(15%), 오심 또는 구토 120분(7%), 현기증 10분(5%), 기타 증상 60분(8%)으로 나타났다.

뮐러 박사는 이러한 전조증상을 본인이나 가족 또는 주위에 있던 사람이 잘못 해석하거나 무시해버리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지적하고 이러한 전조증상들을 일반인들에게 주지시킴으로써 심장마비에 의한 사망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급성심정지가 공공장소에서 발생했을 때는 주위에 있던 사람들에게서 심폐소생술(CPR)을 받는 경우가 있지만 대부분의 환자는 가족과 친지들이 있는 가운데 자택에서 쓰러졌으며 이 경우 심폐소생술이 시행될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나타났다고 밝혔다.

주위 사람에게서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는 23%가 살아났고 이를 받지 못한 349 명은 4%만이 목숨을 건진것으로 나타났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