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란주점에서 청소년 출입금지 규정을 어기거나 편의점이나 식당에서 술, 담배 등 유해약물을 판매하다 적발될 경우 부과하는 '청소년보호법' 위반 과징금에 대한 징수율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행정자치부와 국가청소년위원회에 따르면 전국 16개 시·도의 청소년보호법 위반 과징금 징수율은 지난 6월 말 현재 29.8%에 불과했다.
시·도별로 보면 충북이 11.5%로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과징금 징수율이 가장 낮았다.
이어 대구(20.0%), 광주(20.9%), 경기(22.1%), 전북(26.0%), 부산(28.0%), 대전(29.0%) 등 6개 시·도는 20%대에 머물렀다.
또 경북(30.1%), 충남(32.1%), 울산(33.2%), 제주(33.4%), 전남(34.6%), 경남(3 8.1%), 서울(39.5%) 등 7개 시·도가 30%대의 징수율을 기록했다.
징수율이 절반 수준을 넘는 곳은 인천(57.0%)과 강원(52.5%) 등 2개 시·도에 불과했다.
행자부 관계자는 "징수율이 낮은 시·도에 대해 과징금 부과 및 징수권자인 시·군·구청장에게 과징금 징수율을 높이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강구토록 하라는 지침을 시달했다."며 "앞으로 지방자치단체 성과공시제도에 과징금 징수실적을 평가지표로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