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프리카 못지않게 다른 외래 채소들도 우리네 식탁을 화려하게 꾸미고 있다. 단순히 상추나 배추, 깻잎, 고추 등 기존 일반 채소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특성화된 채소들이 보편화되고 있는 것.
대구시 수성구 중동의 한 쌈밥집. 쌈으로 나오는 채소들이 각양각색이다. 치커리, 뉴 그린, 케일, 레드 등 외래 채소들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야채가 많이 나올 땐 20여 가지가 넘는다. 이곳 주인은 "처음엔 손님들이 이것저것 이름을 물어보는 경우가 많았다."고 전했다.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등에도 브로컬리나 파슬리, 치커리 등 다양한 외래 채소들을 선보이고 있다. 김재달 동아쇼핑 구매담당과장은 "파프리카의 경우 2년 여 전부터 판매량이 매년 20~30%씩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며 "웰빙 열풍에다 식(食)문화가 차츰 서양화되면서 외래 채소의 종류가 과거보다 다양해지고 소비자 반응도 좋은 편"이라고 말했다.
전창훈기자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