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미 엇박자?…15일 예정 정상회담 '먹구름'

오는 15일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에 먹구름이 일고 있다.

북핵 문제 등과 관련, 대화를 통한 평화적 해결을 기조로 한 우리 정부와 대북 강경론 쪽으로 기울고 있는 미국 측이 회담을 앞두고 갈등을 빚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노무현 대통령은 지난 7일 북한 미사일 발사 및 핵 실험 의혹 등과 관련, 우리 정부의 평화적 해결 원칙을 강조한 데 이어 9일부터는 ASEM 회원국 정상들과의 잇단 양자 회담, 그리고 ASEM 회의 석상을 통해 이 같은 원칙에 대한 지지를 요청하고 있다. 이번 행사가 우리 정부로서는 북 핵·미사일 외교의 장(場)이 되고 있으며 특히, 개별 정상회담을 모두 유럽 국가들과 계획해 놓고 있어 아시아권을 넘어 국제적인 지지 확산을 위해 본격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노 대통령은 11일 ASEM 1차 회의 후 할로넨 핀란드 대통령 주최 업무만찬에 참석, 회원국 정상들을 상대로 북 핵 및 미사일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우리 정부가 기울여온 노력들을 설명한 뒤 지지를 호소했다. 이어 슬로바키아·프랑스·덴마크와도 개별 정상회담을 가졌다.

10일에도 폴란드와 독일 총리를 잇따라 만나 대화를 통한 해결을 강조했다. 총리를 대신해 참석한 영국 부총리와도 만났다.

한편 한국과 미국은 노 대통령과 조지부시 대통령의 워싱턴 정상회담에서 공동성명이나 공동선언 또는 공동언론발표문 등 공동문건을 채택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정부 관계자는 11일 "지난 5∼7일 정상회담 사전 협의차미국을 방문했던 송민순 청와대 안보실장이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 및스티븐 해들리 백악관 안보보좌관 등과 만나 이같이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양국 정상은 정상회담 직후 기자회견을 갖고 회담 성과를 밝힐 예정이며, 양쪽에서 별도 언론 브리핑도 할 예정이라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이 관계자는 "이번에 공동문건을 채택하지 않기로 한 것은 작년 11월 APEC(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 정상회의 기간에 가진 한미정상회담에서 채택한 장문의 공동성명을 넘어 문서화할 만한 안건이 많지 않다고 보는 것이 주된 이유"라고 설명했다.

헬싱키에서 서봉대기자 jinyoo@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