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기업의 우리 기업 사냥이 尖端(첨단) 기술을 노린 것이란 우려가 현실이 됐다. 국내 부실 기업을 인수한 중국 기업들은 인수 기업의 자금으로 중국 본토에 투자하도록 함으로써 기술과 인력을 빼내 가는 것도 모자라 자본까지 회수해 가고 있다. 하지만 우리 정부는 별다른 대응책을 마련하지 않아 '기술 立國(입국)'이 흔들리는 상황이다.
첨단 기술은 우리 후손들까지 먹여 살리는 미래 資産(자산)이다. 세계 시장에서 우리가 경쟁력을 갖춘 품목은 조선과 자동차, 휴대전화, LCD, 반도체 등으로 그리 많지 않다. 하지만 경쟁이 격화되면서 중국과 인도 등 後發國(후발국)들과의 기술 격차가 나날이 좁혀지고 있는 형국이다. 특히 중국은 1조 달러에 이르는 세계 1위의 외환 보유고를 바탕으로 외환위기 이후 경영난을 겪는 우리 기업들을 인수해 첨단 기술 유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중국 기업의 인수합병(M&A)을 통한 첨단 기술 유출 논란은 최근 보다 구체화되고 있다. 하이닉스 반도체의 LCD부문(현 비오이 하이디스)을 인수한 중국 비오이 그룹은 첨단 기술 이전을 추진하다 여의치 않자 법정관리를 신청해 버렸다. 쌍용차를 인수한 상하이차도 투자와 고용 약속은 지키지 않고 핵심 기술만 노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 3위 가전업체 대우 일렉 인수 업체인 인도의 비디오콘 역시 핵심 기술과 국외 영업망에 군침을 흘리고 있다는 소문이다.
후발국 기업의 국내 기업 인수는 첨단 기술과 기술 인력의 유출을 노린 것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기업 시장에서 M&A는 茶飯事(다반사)다. 문제는 우리의 미래를 좌우할 첨단 기술의 유출이 무방비 상태란 점이다. M&A든, 합작 투자든 첨단 기술과 기술 인력 보호를 위한 여과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